올 봄, 40년래 햇볕 가장 적고 비는 가장 많아
최악의 기상 이변에 농작물 피해 극심할듯
올 봄 일조(日照)량이 최근 40년간 가장 적고, 강수량은 가장 많아 농작물 피해가 더 커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27일 기상청에 따르면 올해 3월 상순∼4월 중순의 전국 평균 일조시간(햇빛이 구름이나 안개 등으로 가려지지 않고 지면에 도달한 시간)은 평년치의 73%인 247.1시간에 그쳤다.
반면에 이 기간중 비가 내린 날은 전국 평균 19.6일로 평년치보다 6.7일이나 많았다.
기성청은 "이는 연중 같은 기간과 비교했을 때 최근 40년간 일조량은 가장 적고 강수 일수는 가장 많은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이 기간 대구의 일조량(228.5시간)은 근대적 기상 관측이 시작된 1909년 이후 가장 적었다. 목포의 강수 일수는 22일로 1914년 같은 기간(23일)에 이어 두번째로 비가 잦았다.
잦은 비와 흐린 날씨로 이 기간 전국의 평균 최고기온은 12.1도로 평년보다 1.6도나 낮아 농작물 작황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일조량 부족은 전국 평균 일조시간이 평년보다 약 10% 모자랐던 지난 겨울(2009년 12월∼2010년 2월)부터 이어진 현상으로, 2월부터 특히 심해졌다.
또 2월 초순부터 4월 중순까지 전국 평균 강수량은 223.4㎜로, 평년치보다 37% 많았고 강수 일수도 29.7일로 평년보다 46%나 늘었다.
기상청은 이와 관련, "대륙고기압의 발생지인 시베리아 대륙의 눈덮임이 평년보다 넓어 흰 눈이 햇볕을 반사시켜 지면 가열이 지연되고 시베리아 대륙의 온도가 낮은 상태가 유지되면서 고기압이 쉽게 계속되고, 또한 북극 주변지역에서 장기간 지속되고 있는 이상고온 현상으로 인해 우리나라 북쪽으로 찬 공기의 벨트가 형성되었다"며 "대륙고기압이 확장되면서 저온 현상이 나타나고, 우리나라를 통과한 고기압의 후면을 따라 한반도 남쪽과 북쪽으로 저기압이 자주 통과하면서 자주 비가 내렸다"고 분석했다.
기상청은 "기온이 낮고 비가 잦은 날씨는 5월 상순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5월 중·하순에는 남쪽 기압골의 영향으로 한두 차례 비가 오긴 하겠으나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으로 맑은 날이 많겠고 기온과 강수량도 평년과 비슷해지겠다"고 내다봤다.
27일 기상청에 따르면 올해 3월 상순∼4월 중순의 전국 평균 일조시간(햇빛이 구름이나 안개 등으로 가려지지 않고 지면에 도달한 시간)은 평년치의 73%인 247.1시간에 그쳤다.
반면에 이 기간중 비가 내린 날은 전국 평균 19.6일로 평년치보다 6.7일이나 많았다.
기성청은 "이는 연중 같은 기간과 비교했을 때 최근 40년간 일조량은 가장 적고 강수 일수는 가장 많은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이 기간 대구의 일조량(228.5시간)은 근대적 기상 관측이 시작된 1909년 이후 가장 적었다. 목포의 강수 일수는 22일로 1914년 같은 기간(23일)에 이어 두번째로 비가 잦았다.
잦은 비와 흐린 날씨로 이 기간 전국의 평균 최고기온은 12.1도로 평년보다 1.6도나 낮아 농작물 작황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일조량 부족은 전국 평균 일조시간이 평년보다 약 10% 모자랐던 지난 겨울(2009년 12월∼2010년 2월)부터 이어진 현상으로, 2월부터 특히 심해졌다.
또 2월 초순부터 4월 중순까지 전국 평균 강수량은 223.4㎜로, 평년치보다 37% 많았고 강수 일수도 29.7일로 평년보다 46%나 늘었다.
기상청은 이와 관련, "대륙고기압의 발생지인 시베리아 대륙의 눈덮임이 평년보다 넓어 흰 눈이 햇볕을 반사시켜 지면 가열이 지연되고 시베리아 대륙의 온도가 낮은 상태가 유지되면서 고기압이 쉽게 계속되고, 또한 북극 주변지역에서 장기간 지속되고 있는 이상고온 현상으로 인해 우리나라 북쪽으로 찬 공기의 벨트가 형성되었다"며 "대륙고기압이 확장되면서 저온 현상이 나타나고, 우리나라를 통과한 고기압의 후면을 따라 한반도 남쪽과 북쪽으로 저기압이 자주 통과하면서 자주 비가 내렸다"고 분석했다.
기상청은 "기온이 낮고 비가 잦은 날씨는 5월 상순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5월 중·하순에는 남쪽 기압골의 영향으로 한두 차례 비가 오긴 하겠으나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으로 맑은 날이 많겠고 기온과 강수량도 평년과 비슷해지겠다"고 내다봤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