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硏, “내년 원-달러환율 8백원대로 하락할 수도"
"美재정수지 악화 및 금리격차 축소 전망이 원인"
달러화 약세 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원.달러 환율이 내년에는 8백원대로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왔다.
이같은 전망은 내년도 우리나라 경상수지가 적자로 반전될 게 확실한 상황에서 과연 맞을 지는 지켜볼 일이나, 경상적자에도 불구하고 원화가 위안화-엔화 강세에 휘말려 동반 강세를 띨 경우 수출경제에 치명적 타격을 가할 것으로 우려된다.
"엔에 대한 원화 고평가 막기 위해 대책 마련 시급"
현대경제연구원은 18일 발표한 ‘2007년 달러화 약세 기조 지속 전망’이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달러화는 올 상반기에 유로화와 엔화에 대해 지속적인 약세를 나타내는 등 연간 약세를 보였다”며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 요인이 상존하는 가운데 미국의 재정수지 악화 가능성, 미.일과 미.유럽의 금리격차 축소 전망 등이 달러화 가치를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내년중 달러화 가치가 약화될 것이며 최저 8백원대까지도 하락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연구원은“미국의 대외 의존적 소비구조로 경상수지 적자 요인 상존, 사회보장 비용이 급증한 데 따른 미국의 재정수지 악화 가능성, 미국의 금리인상 중단과 달리 일본과 유럽은 금리를 인상, 금리 격차가 축소될 전망 등을 고려해야 한다”며 “이에 따라 주요 해외투자은행들은 내년 중 달러화가 엔화, 유로화, 위안화에 대해 약세기조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미국의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감이 확산되는 가운데 미국의 대외 의존적 소비구조 등에 따라 경상수지 적자가 큰 폭으로 개선되기 어려워 내년에도 글로벌 달러화의 약세기조가 유지될 전망”이라며 “또 사회보장 비용등의 급증 등으로 미국의 재정적자 폭이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연구원은 “특히 일본 엔화와 중국 위안화의 절상기조를 기준으로 할 경우 현재의 원.엔 강세현상이 유지될 경우 내년 원.달러 환율이 8백원대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존재하며, 실제 2002년부터 원화는 엔화보다 달러화에 대해 2배 이상 높은 절상세를 유지하면서 달러화에 대한 원화와 엔화 비율이 10.1에서 8.3로 급락했다”며 “이같은 현상은 일본제품에 대한 국내 상품의 가격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지적했다.
연구원은 "국내 수출 상품의 가격 경쟁력이 급속히 하락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정부의 인위적인 원화 환율 가치절하 정책보다는 원.엔 환율을 적정 수준에서 유지하는 데 환율정책의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밝히고 "이를 위해서는 해외투자 촉진을 포함해 자본이동에 제약이 되는 규제를 지속적으로 완화시키는 등 건전한 해외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자본수지의 균형화를 유도하는 수급 조절 정책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표한형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원.엔 시장을 확대해 엔화가치가 과소평가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시장 유동성이 충분해질 때까지 외환 당국이 대행기관을 통해 공급하는 ‘유동성 공급자 제도’등을 도입하여 원.엔 시장을 확대함으로써 원.엔환율이 적정수준으로 결정되도록 하는 방안 등을 검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유동성 공급자 제도’란 시장유동성이 충분해질 때까지 외환당국이 대행기관을 통해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제도로서, 대행기관은 유동성 공급자로서 원.달러와 엔.달러 환율의 수준이나 변동추이를 감안해 원.엔 환율이 적정수준에서 유지되도록 중개회사에 상시 매입 또는 매도 주문을 낼 의무를 지는 외국환은행을 가리킨다.
이같은 전망은 내년도 우리나라 경상수지가 적자로 반전될 게 확실한 상황에서 과연 맞을 지는 지켜볼 일이나, 경상적자에도 불구하고 원화가 위안화-엔화 강세에 휘말려 동반 강세를 띨 경우 수출경제에 치명적 타격을 가할 것으로 우려된다.
"엔에 대한 원화 고평가 막기 위해 대책 마련 시급"
현대경제연구원은 18일 발표한 ‘2007년 달러화 약세 기조 지속 전망’이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달러화는 올 상반기에 유로화와 엔화에 대해 지속적인 약세를 나타내는 등 연간 약세를 보였다”며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 요인이 상존하는 가운데 미국의 재정수지 악화 가능성, 미.일과 미.유럽의 금리격차 축소 전망 등이 달러화 가치를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내년중 달러화 가치가 약화될 것이며 최저 8백원대까지도 하락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연구원은“미국의 대외 의존적 소비구조로 경상수지 적자 요인 상존, 사회보장 비용이 급증한 데 따른 미국의 재정수지 악화 가능성, 미국의 금리인상 중단과 달리 일본과 유럽은 금리를 인상, 금리 격차가 축소될 전망 등을 고려해야 한다”며 “이에 따라 주요 해외투자은행들은 내년 중 달러화가 엔화, 유로화, 위안화에 대해 약세기조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미국의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감이 확산되는 가운데 미국의 대외 의존적 소비구조 등에 따라 경상수지 적자가 큰 폭으로 개선되기 어려워 내년에도 글로벌 달러화의 약세기조가 유지될 전망”이라며 “또 사회보장 비용등의 급증 등으로 미국의 재정적자 폭이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연구원은 “특히 일본 엔화와 중국 위안화의 절상기조를 기준으로 할 경우 현재의 원.엔 강세현상이 유지될 경우 내년 원.달러 환율이 8백원대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존재하며, 실제 2002년부터 원화는 엔화보다 달러화에 대해 2배 이상 높은 절상세를 유지하면서 달러화에 대한 원화와 엔화 비율이 10.1에서 8.3로 급락했다”며 “이같은 현상은 일본제품에 대한 국내 상품의 가격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지적했다.
연구원은 "국내 수출 상품의 가격 경쟁력이 급속히 하락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정부의 인위적인 원화 환율 가치절하 정책보다는 원.엔 환율을 적정 수준에서 유지하는 데 환율정책의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밝히고 "이를 위해서는 해외투자 촉진을 포함해 자본이동에 제약이 되는 규제를 지속적으로 완화시키는 등 건전한 해외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자본수지의 균형화를 유도하는 수급 조절 정책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표한형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원.엔 시장을 확대해 엔화가치가 과소평가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시장 유동성이 충분해질 때까지 외환 당국이 대행기관을 통해 공급하는 ‘유동성 공급자 제도’등을 도입하여 원.엔 시장을 확대함으로써 원.엔환율이 적정수준으로 결정되도록 하는 방안 등을 검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유동성 공급자 제도’란 시장유동성이 충분해질 때까지 외환당국이 대행기관을 통해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제도로서, 대행기관은 유동성 공급자로서 원.달러와 엔.달러 환율의 수준이나 변동추이를 감안해 원.엔 환율이 적정수준에서 유지되도록 중개회사에 상시 매입 또는 매도 주문을 낼 의무를 지는 외국환은행을 가리킨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