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한화갑 "외부영입 성공한 적 없어"

盧대통령의 개헌 제안에 적극 찬성 입장 밝혀

한화갑 민주당 전 대표는 18일 대선후보가 외부에서 영입돼 성공한 적이 없었다며 제3 후보론에 쐐기를 박았다.

“개헌 우리 정치 실정에 맞냐, 안 맞냐를 갖고 따져야”

한 전 대표는 이날 오전 KBS 라디오 ‘안녕하십니까, 이몽룡입니다’에 출연, 정운찬 전 서울대 총장 등 외부인사의 대선주자 영입론에 대해 "외부에서 영입된 인물이 성공한 예가 없다. 내부에서 나와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 전 대표는 “(외부인사들이) 안 된다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그런 정당 사상 전례가 있었지만 성공한 예가 없고 사람이 부족하다, 예를 들면 후보가, 그러더라도 선거 과정에서 국민의 지지를 얼마나 끌어 모으느냐에 따라서 그 사람 능력이 재평가를 받는다”며 “예를 들면 지난번 대통령 선거 때 정몽준 의원하고 노무현 후보하고 단일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국민의 지지가 모아졌다. 처음부터 그 인물이 대통령 감으로 최고라는 평가가 있었던 것은 아니다. 대의원들과 당원이 결정할 문제이고 경선과정을 거쳐서 국민하고 함께 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범여권에서 거론되는 손학규 영입론에 대해서도 "그렇게 해서 정치발전 축이 형성될 수는 없다"며 “앞으로는 제도가 움직이는 그런 정치여야 하지 사람이 움직이는 것을 가지고는 그 힘을 낼 수가 없다”고 부정적 반응을 보였다.

그는 고건 불출마 선언에 대해 “본인이 성명에서 밝힌 그 이상은 알 길이 없다”면서도 “그런 것들이 현실정치에 적응하는 데는 한계가 있지 않느냐고 생각한다”고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외압설을 일축했다.

그는 호남의 고건 지지층 상당수가 한나라당으로 돌아서 민주당이 호남 지지기반을 잃은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민주당은 4.15 총선후 계속 지지가 늘어났지, 줄어들지는 않았다"며 "여론조사가 당장 대선에 연관된다는 보장도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노무현 대통령이 제기한 4년 연임제 개헌론에 대해 “노무현 대통령에 대해서 부정적인 이야기를 안 하면 국민이 아닌 것처럼 이런 인상을 주고 있는데, 노 대통령이 개헌 제안 했다고 해서 노 대통령이 이 다음에 다시 대통령 하겠다는 것은 아니다”라며 “그렇기 때문에 이 제도는 필요하다고 본다”고 찬성입장을 밝혔다.

그는 “누가 제안했던지 간에 이 제도가 필요하냐, 안 하냐, 이것을 가지고 따져야 한다. 그리고 한나라당도 과거에 정부통령제, 연임제 개헌을 주장했던 사람들”이라며 “그렇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국민의 공감대를 모아가지고 이 제도가 앞으로 우리 정치 실정에 맞냐, 안 맞냐, 이것을 가지고 따져야지 누가 제안했기 때문에 이것은 안 된다, 이런 식으로 접근한다면 우리는 변화를 추구할 수 없다고 본다”고 정치권이 개헌논의에 적극 나설 것을 주문했다.

그는 열린우리당의 대통합신당 추진에 대해선 "통합신당이란 말은 열린우리당끼리의 새로운 출발이지, 통합신당일 수는 없다"며 “현재 열린우리당 구성원으로는 아무리 이름을 바꾸고 분장해도 바꿀 수 없다. 민주당이 수는 작지만 우리당을 변화시키는 촉매제 역할을 한다. 그렇게 해야 국민에게 새로운 변화의 인상을 준다"고 민주당 역할론을 주장했다.
김홍국 기자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