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박근혜 경제정책, '중소기업 살리기'에 올인

<현장> "지금 대운하가 무슨 의미? 중소기업부터 살려내야"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자신의 첫 번째 중점 경제정책으로 '중소기업 살리기'를 내세우며 본격적인 정책경쟁에 나서고 있다. 이명박 전 서울시장 등 타 후보들이 주로 대기업 위주의 경제정책을 펴는 것과는 차별화된 정책으로 나서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박근혜 전 대표는 23일 경기도 시흥에 있는 시화공단과 한국산업기술대학교를 잇따라 방문, 전날 자신이 발표한 '산업단지 회생 프로젝트'의 현실화 방안을 강구했다.

시화공단 내 회사 중 한 곳인 희성엥겔하드를 방문한 박 전대표는 이 곳에 입주한 중소기업들과 가진 간담회에서 "경제 살리기와 일자리 창출 얘기를 많이 하는데 경제 살리기는 중소기업이 살지 않고는 공염불이고 불가능한 일"이라며 "또한 기존에 돼 있는 곳과 침체된 곳을 살리지 않고 새 것만 추구하는 것은 무의미하기 때문에 지표가 나빠진 곳을 회생시키기 위해 산업단지 회생 프로젝트를 만들었다"고 말했다.

박근혜 전 대표가 시화공단 내 희성엥겔하드를 방문, 중소기업인들과 간담회를 갖고 있다. ⓒ이영섭 기자


그는 기업인들의 애로점을 들은 후 "기업인들에게 가장 큰 문제가 뭐냐고 물으면 반기업 정서라고 한다"며 "중소기업은 우리 경제의 기둥인데 반기업 정서 때문에 신나서 투자할 분위기가 아니라고 한다. 그것부터 뜯어 고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전대표는 이어 한국산업기술대학교을 방문, 전날 자신의 발표한 프로젝트 중 '기술사관학교' 육성에 대한 가능성을 점쳤다. 한국산업기술대학교는 산학협동을 기반으로 수년 째 취업률 1백%를 기록하고 있는 대학. 박 전대표는 이를 두고 "제가 추진하고 있는 기술사관학교의 롤 모델(Role Model)로 우리 정책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 같아 찾아왔다"며 "중소기업이 겪는 인력난을 해소해야 함과 동시에 고급인력을 받아야 하는데 실업고와 전문대를 합치는 방식의 기술사관학교 제도를 만들어야 한다. 기업과 학교가 일치되는 이런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고 밝혔다.

시화공단 현장을 둘러보고 있는 박근혜 전 대표 ⓒ이영섭 기자


박 전대표는 지난 22일 가진 기자 간담회에서 "일자리와 고용 창출의 80%를 담당하는 중소기업을 살리기 위해 31개 국가산업단지를 ‘산업단지회생 특별대책지구’로 지정하고 대폭 지원해야 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 산업단지 회생 프로젝트를 발표한 바 있다.

이와 관련, 박근혜 전 대표의 한 측근 의원은 "지금 시점에 '과학도시' '대운하' 등이 무슨 의미가 있나"라며 "박근혜 전 대표는 중소기업 살리기에 목숨을 걸었다"고 이명박 전 시장과의 차별성을 강조했다. 그는 "다른 후보들은 주로 대기업에 대한 정책을 말하는데 사실 대기업은 규제만 풀어주면 알아서 다 한다"며 "국가의 지원과 대책은 중소기업을 위한 것이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박근혜 전 대표의 일정에는 이규택, 박순자, 최경환, 한선교 의원 등이 동행했다.

한편 박 전대표는 오는 24일에는 국회에서 자신의 핵심 공약 가운데 하나인 '열차페리에 대한 대국민 토론회'를 개최, 검증 논란으로 인해 생긴 경쟁을 정책경쟁으로 발전시킨다는 계획이다.
시흥=이영섭 기자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