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희숙 혁신위 "단일지도체제로". 친윤 수용할까
"최고위원도 폐지. 대표에게 확고한 리더십"
혁신위는 11일 당사에서 윤희숙 혁신위원장 주재로 회의를 열어 이런 내용을 2호 안건으로 의결했다고 호준석 혁신위 대변인이 브리핑을 통해 밝혔다.
호 대변인은 "이기는 정당으로 정책 역량을 강화할 정당, 잘 싸울 수 있는 당이 되기 위해서는 리더십이 확고해야 한다"며 "그래서 당대표 단일 지도체제를 채택한다는 게 결론"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최고위원은 폐지된다"며 "최고위 회의를 통해 생중계로 싸우고 이전투구하는 모습이 비치는 애매한 혼합형 지도체제 끝내고, 대표가 확고한 리더십과 정책 역량을 갖고 잘 싸우고 이길 체제를 만든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대신 중앙당무회의를 만들기로 했다. 중앙당무회의는 당대표, 원내대표, 정책위의장, 사무총장, 수석대변인, 청년위원장, 여성위원장, 당대표가 지명하는 원외 당협위원장 2명 등 총 9명으로 구성되며 주 2회 회의가 진행된다. 회의 구성원 9명 중 원내대표를 제외한 나머지 당직자는 사실상 당 대표가 임명한다.
아울러 당 대표를 의장으로 하는 '전국민심회의'를 신설하기로 했다. 17개 시도당 대표를 직접 투표를 통해 선출하고 주 1회 회의를 연다는 것이다. 이는 현행 당헌당규상 상임전국위원회 기능을 대신한다고 호 대변인은 설명했다.
호 대변인은 "막강한 권한을 가지고 전국 시도당을 통해 청취한 민심을 당 대표에게 직접 전달하는, 그래서 전국정당으로서 민심을 정취하고 민감하게 반응하는 논의 구조를 만들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혁신위는 '비례대표 공천 혁신' 구상도 제시했다. 수도권·호남 등 당세가 취약한 권역을 중심으로 지역 당원 투표를 통해 비례대표 후보자를 결정하고, 청년층 등 할당을 대폭 확보하고자는 것.
호 대변인은 "당 구조 혁신안은 비대위에 보고될 것"이라며 "비대위에서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당원 투표에 부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