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정배 "열린당 앞으로도 계속 표류할 것"
"사수파와 신당파 화해 불가능, 신당 추진도 불가능"
열린우리당을 탈당한 천정배 의원은 앞으로도 열린우리당이 계속 표류할 것이라며 열린우리당 중심의 정계개편 가능성을 일축했다.
"열린당 부진의 큰 잘못과 책임을 통감하고 인정"
천 의원은 29일 MBC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과 인터뷰에서 향후 열린우리당 전망과 관련, “사수파와 신당파는 앞으로도 도저히 화해가 불가능한 상태이며, 열린우리당 내에서는 신당을 만든다는 사람들의 입장에서는 실제적인 추진이 불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천 의원은 “29일 중앙위에서 기초당원제가 수용됐다고 해서 또 전당대회가 이루어진다고 해도 그 이후에 열린우리당이 과연 달라질 것인지는 작년 5월31일 지방선거 참패 이후 8개월이 된 뒤 전진한 게 없다는 점에서 부정적”이라며 “2월 14일 전당대회 후로도 계속 표류한다면 지난 8개월은 그렇다 치더라도 앞으로 또 8개월을 생각해 보면 거의 연말에 대통령 선거를 준비할 방법이 없는 상황으로 빠질 것”이라고 자신의 탈당이유를 밝혔다.
그는 향후 계획에 대해 “우선 많은 사람들과 만나 볼 생각이다. 정치권의 사람도 있겠지만 밖에 분들하고 의논해 보겠다”며 “대통합신당의 원칙은 비전과 정책을 중심으로 당을 만들어야 될 것"이라고, 진보적 정강정책에 기초한 신당 창당 원칙을 밝혔다.
그는 먼저 탈당한 의원들과의 관계 설정에 대해서도 “그 분들과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면서도 "그렇다고 해서 또 한편으로는 몇 사람이 탈당을 하던간에 탈당했으니까 탈당한 사람은 무조건 어떤 당을 함께 하고 앞으로 정치를 같이 해야 될 사람들이라는 것은 좀 성급한 것”이라고 마찬가지 입장을 밝혔다.
그는 정동영 전의장과의 신당 추진 여부에 대해서도 “열린우리당을 같이 해왔던 분들, 특히 정동영 전 의장 같은 분이야 어떤 점에서도 저하고 여러 가지 생각을 같이 하고 노선을 같이 하는 사람들이라고 본다. 그래서 같이 안 한다는 뜻은 전혀 아니다”라며 “ 그러나 신당을 추진해 감에 있어서는 우리 자신들이 새로운 비전과 새로운 정책에 동조하고 공유하느냐 하는 것들은 늘 따져봐야 하며, 그 과정은 그야말로 기존에 무슨 기득권이 있다든가 하는 것을 유지하거나 그것이 인정받거나 그것이 강화하는 방향으로 돼서는 안될 것”이라고 같은 입장을 밝혔다.
"열린당 부진의 큰 잘못과 책임을 통감하고 인정"
천 의원은 29일 MBC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과 인터뷰에서 향후 열린우리당 전망과 관련, “사수파와 신당파는 앞으로도 도저히 화해가 불가능한 상태이며, 열린우리당 내에서는 신당을 만든다는 사람들의 입장에서는 실제적인 추진이 불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천 의원은 “29일 중앙위에서 기초당원제가 수용됐다고 해서 또 전당대회가 이루어진다고 해도 그 이후에 열린우리당이 과연 달라질 것인지는 작년 5월31일 지방선거 참패 이후 8개월이 된 뒤 전진한 게 없다는 점에서 부정적”이라며 “2월 14일 전당대회 후로도 계속 표류한다면 지난 8개월은 그렇다 치더라도 앞으로 또 8개월을 생각해 보면 거의 연말에 대통령 선거를 준비할 방법이 없는 상황으로 빠질 것”이라고 자신의 탈당이유를 밝혔다.
그는 향후 계획에 대해 “우선 많은 사람들과 만나 볼 생각이다. 정치권의 사람도 있겠지만 밖에 분들하고 의논해 보겠다”며 “대통합신당의 원칙은 비전과 정책을 중심으로 당을 만들어야 될 것"이라고, 진보적 정강정책에 기초한 신당 창당 원칙을 밝혔다.
그는 먼저 탈당한 의원들과의 관계 설정에 대해서도 “그 분들과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면서도 "그렇다고 해서 또 한편으로는 몇 사람이 탈당을 하던간에 탈당했으니까 탈당한 사람은 무조건 어떤 당을 함께 하고 앞으로 정치를 같이 해야 될 사람들이라는 것은 좀 성급한 것”이라고 마찬가지 입장을 밝혔다.
그는 정동영 전의장과의 신당 추진 여부에 대해서도 “열린우리당을 같이 해왔던 분들, 특히 정동영 전 의장 같은 분이야 어떤 점에서도 저하고 여러 가지 생각을 같이 하고 노선을 같이 하는 사람들이라고 본다. 그래서 같이 안 한다는 뜻은 전혀 아니다”라며 “ 그러나 신당을 추진해 감에 있어서는 우리 자신들이 새로운 비전과 새로운 정책에 동조하고 공유하느냐 하는 것들은 늘 따져봐야 하며, 그 과정은 그야말로 기존에 무슨 기득권이 있다든가 하는 것을 유지하거나 그것이 인정받거나 그것이 강화하는 방향으로 돼서는 안될 것”이라고 같은 입장을 밝혔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