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주 "드론작전사, 3차례 7대 무인기 北으로 보내"
내란특검, 드론사 등 압수수색하며 '외환 의혹' 수사 본격화
장성 출신인 김 최고위원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윤석열 정권의 외환 유치 정황이 점차 사실로 입증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우선 2024년 10월 3일이다. 드론사 예하 부대인 백령도 101대대에서 무인기 2대가 새벽 2시부터 10분 간격으로 이륙했고, 평양을 거쳐 새벽 6시쯤 복귀했다. 비행기록과 여러 증언을 통해 확인한 내용"이라며 "구체적인 목표 좌표도 파악됐다. 김정은의 관저로 알려진 15호 관저 일대"라고 주장했다.
이어 "그다음은 10월 8일이다. 밤 11시부터 10분 간격으로 백령도에서 넉 대를 날렸다. 그중 한 대는 다음날 새벽 2시 반쯤, 두 대는 3시쯤 복귀했다. 한 대가 복귀하지 못한 것"이라며 "'남측이 10월 9일 평양에 무인기를 날려보냈다'라고 북한이 공개한 그 날과 일치한다. 특히 당시 목표 좌표는 15호 관저 상공이었다"고 주장했다.
또한 "세 번째 날은 11월13일이다. 저녁 7시 반쯤 1대를 날렸다. 애초엔 2시간 내지 3시간 간격으로 두 대를 띄울 계획이었는데, 한 대만 보냈다고 한다. 2~3시간 간격으로 보내면 북한이 경계태세를 확고히 갖추기 때문에 두 번째 드론은 격추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전했다.
그는 "너무나 위험천만한 계획을 세웠던 거다. 이 정도면 ’나 잡아봐라‘ 아니냐"라고 반문한 뒤, "특히 이번에는 목표 좌표도 더욱 위험했다. 해군기지가 있는 남포였다. 북한 잠수함, 호위함 등이 정박해 있는 주요 군사 시설이 밀집한 곳"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이렇게 남포 일대를 비행한 무인기는 약 2시간 후쯤 백령도로 복귀했다. 이 때 비행경로로 남포로 갈 때는 상공 2km로 유지하다가 대동강 지역, 남포 일대 군사 시설이 밀집된 지역은 고도를 800m까지 낮춰서 가도록 지시를 받았다고 한다. 이것은 명백히 무인기를 격추당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보여진다"며 "이를 김용대 사령관에게 보고했더니 실망하는 듯한 목소리로 '복귀했다고?', 이렇게 대답했다는 게 여러 관계자의 증언"이라며 계엄 명분을 쌓기 위한 도발 의혹을 제기했다.
그는 내란특검에 대해 "이제 특검이 속도를 내야 한다. 백령도 일대가 아니라 드론사 예하 부대에서 날린 무인기 기록과 관련 장비를 하루빨리 확보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내란특검은 이날 드론작전사령부와 국방부, 국군방첩사령부 등에 대한 전방위 압수수색에 나서며 외환 혐의 수사를 본격화했다.
법조계에 따르면 특검은 이날 경기도 포천 드론사와 국방부, 국군 방첩사령부, 국방부 국방정보본부, 백령도부대 등 군사 관련 장소 24곳에 검사와 수사관을 보내 북한 무인기 투입 관련 자료를 확보 중이다. 서울 용산구 국가안보실과 경기도 소재 김용대 드론작전사령관 자택 등도 압수수색 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