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동연 "탈당파와 교섭단체 구성 추진"
“나와 대통령의 관계보다 대의명분이 중요”
염동연(광주 서구갑) 의원이 30일 열린우리당 탈당후 국회에서 기자간담회에서 앞서 탈당한 천정배 의원 등과 원내교섭단체를 구성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탈당파는 뜻을 같이 하는 동지로 수일내 같이 만나기로 했다"며 "원내 교섭단체를 만드는 것도 1차적 목표가 될 수 있다. 그렇게 돼야 신당추진의 동력이 생긴다"고 말했다.
그는 또 "민주당 의원 몇 분과도 대화를 해본 적 있다. 민주당도 중요한 한 축일 수밖에 없다"며 "일단 2-3일 광주에 머문 뒤 대통합의 밑거름과 전도사의 길을 걷겠다"고 말해 민주당과의 통합 논의를 진행할 것임을 시사했다.
염 의원은 노무현 대통령과 관계에 관해선 "대통령도 대통합에 동의하지만 나와 대통령의 관계보다 대의명분이 중요하다"며 " 대통령도 중도평화개혁세력과 미래세력의 대통합과 결집에 동의했으나 나와 방법이 다른 것으로, 내 방법이 성공할 수 있으며 나중에 결과가 말하는 것"이라고 결별 의지를 분명히 했다.
그는 열린우리당에 대해선 “열린우리당은 대통합을 이뤄낼 동력을 상실했다. 당의 발전적 해체를 통해 정계개편을 주도해야 한다”며 “따라서 어제 중앙위의 결정은 본질적인 문제가 아니라서 커다란 의미가 없으며, 실기 우려와 함께 당의 통합동력 상실에 따라 탈당할 수밖에 없었다”고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다음은 염 의원의 기자간담회 일문일답.
질문 탈당 소감은.
염동연 의원 열린우리당은 대통합을 이뤄낼 동력을 상실했다. 당의 발전적 해체를 통해 정계개편을 주도해야 한다. 따라서 어제 중앙위의 결정은 본질적인 문제가 아니라서 커다란 의미가 없다. (당내의 대통합 신당론은) 목표에서는 같지만 실기할까 우려된다. 당이 통합동력을 상실했기에 버스를 바꿔 탈 수 밖에 없다.
질문 탈당파 의원들과 함께 통합신당 문제를 논의하는가.
염동연 의원 그렇다. 뜻을 같이하는 동지들이다. 수일 내로 한번 모이자는 얘기는 했다. 최소한 (통합신당의) 밑그림을 그리도록 노력하겠다. 원내 교섭단체를 만드는 것도 1차적 목표가 될 수 있다. 민주당 의원 몇 분과도 대화를 해본 적 있다. 민주당도 중요한 한 축일 수밖에 없다. 일단 2-3일 광주에 머문 뒤 대통합의 밑거름과 전도사의 길을 걷겠다.
질문 추가 탈당 전망은.
염동연 의원 다른 분들 얘기는 하지 않겠다. 정치인은 소신에 따라서 행보하는 것이다. 김한길 의원 등의 탈당설에 대해선 언론을 통해 아는 정도다. 다만 29일 중앙위원회 결과가 의미가 없고, 열린우리당이 통합추진의 동력을 잃었다는 점에서는 나와 김 의원의 의견이 같은 것 같다.
질문 대통령과 정치적으로 결별하는가.
염동연 의원 대통령도 중도평화개혁세력과 미래세력의 대통합과 결집에 동의한다. 그렇지만 나는 통합의 그림을 신속하게 그려갈 수 있는 당내 상황이 아니었다고 판단한 것이다.
질문 탈당에 앞서 대통령과의 면담이 이뤄지지 못했는데.
염동연 의원 대통령에게 의사를 전할 기회를 갖지 못했다. 대통령 입장에서도 오해소지가 있어 면담을 안한 것이 옳다고 본다. 섭섭할게 있는가. 내 방법이 성공할 수 있다고 보지만 대통령은 다른 생각인 것 같다. 나와 대통령의 관계보다 대의명분이 중요하다.
질문 향후 통합신당 추진 과정에서 배제할 정치그룹이 있는가.
염동연 의원 열린우리당에 사람이 많다. 또 생각 차가 큰 사람들도 있다. 나는 그래서 중도개혁, 민주평화개혁세력의 결집을 말해왔다.
그는 "탈당파는 뜻을 같이 하는 동지로 수일내 같이 만나기로 했다"며 "원내 교섭단체를 만드는 것도 1차적 목표가 될 수 있다. 그렇게 돼야 신당추진의 동력이 생긴다"고 말했다.
그는 또 "민주당 의원 몇 분과도 대화를 해본 적 있다. 민주당도 중요한 한 축일 수밖에 없다"며 "일단 2-3일 광주에 머문 뒤 대통합의 밑거름과 전도사의 길을 걷겠다"고 말해 민주당과의 통합 논의를 진행할 것임을 시사했다.
염 의원은 노무현 대통령과 관계에 관해선 "대통령도 대통합에 동의하지만 나와 대통령의 관계보다 대의명분이 중요하다"며 " 대통령도 중도평화개혁세력과 미래세력의 대통합과 결집에 동의했으나 나와 방법이 다른 것으로, 내 방법이 성공할 수 있으며 나중에 결과가 말하는 것"이라고 결별 의지를 분명히 했다.
그는 열린우리당에 대해선 “열린우리당은 대통합을 이뤄낼 동력을 상실했다. 당의 발전적 해체를 통해 정계개편을 주도해야 한다”며 “따라서 어제 중앙위의 결정은 본질적인 문제가 아니라서 커다란 의미가 없으며, 실기 우려와 함께 당의 통합동력 상실에 따라 탈당할 수밖에 없었다”고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다음은 염 의원의 기자간담회 일문일답.
질문 탈당 소감은.
염동연 의원 열린우리당은 대통합을 이뤄낼 동력을 상실했다. 당의 발전적 해체를 통해 정계개편을 주도해야 한다. 따라서 어제 중앙위의 결정은 본질적인 문제가 아니라서 커다란 의미가 없다. (당내의 대통합 신당론은) 목표에서는 같지만 실기할까 우려된다. 당이 통합동력을 상실했기에 버스를 바꿔 탈 수 밖에 없다.
질문 탈당파 의원들과 함께 통합신당 문제를 논의하는가.
염동연 의원 그렇다. 뜻을 같이하는 동지들이다. 수일 내로 한번 모이자는 얘기는 했다. 최소한 (통합신당의) 밑그림을 그리도록 노력하겠다. 원내 교섭단체를 만드는 것도 1차적 목표가 될 수 있다. 민주당 의원 몇 분과도 대화를 해본 적 있다. 민주당도 중요한 한 축일 수밖에 없다. 일단 2-3일 광주에 머문 뒤 대통합의 밑거름과 전도사의 길을 걷겠다.
질문 추가 탈당 전망은.
염동연 의원 다른 분들 얘기는 하지 않겠다. 정치인은 소신에 따라서 행보하는 것이다. 김한길 의원 등의 탈당설에 대해선 언론을 통해 아는 정도다. 다만 29일 중앙위원회 결과가 의미가 없고, 열린우리당이 통합추진의 동력을 잃었다는 점에서는 나와 김 의원의 의견이 같은 것 같다.
질문 대통령과 정치적으로 결별하는가.
염동연 의원 대통령도 중도평화개혁세력과 미래세력의 대통합과 결집에 동의한다. 그렇지만 나는 통합의 그림을 신속하게 그려갈 수 있는 당내 상황이 아니었다고 판단한 것이다.
질문 탈당에 앞서 대통령과의 면담이 이뤄지지 못했는데.
염동연 의원 대통령에게 의사를 전할 기회를 갖지 못했다. 대통령 입장에서도 오해소지가 있어 면담을 안한 것이 옳다고 본다. 섭섭할게 있는가. 내 방법이 성공할 수 있다고 보지만 대통령은 다른 생각인 것 같다. 나와 대통령의 관계보다 대의명분이 중요하다.
질문 향후 통합신당 추진 과정에서 배제할 정치그룹이 있는가.
염동연 의원 열린우리당에 사람이 많다. 또 생각 차가 큰 사람들도 있다. 나는 그래서 중도개혁, 민주평화개혁세력의 결집을 말해왔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