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전문가 76.7% "최경환노믹스 부적절"
85.9% "최경환노믹스 지속시 일본의 잃어버린 20년 뒤따를 것"
20일 경실련에 따르년, 지난 10~14일 경제․경영학과 교수 120명을 대상으로 이메일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우선 ‘우리경제 상황에 최경환 경제정책의 방향이 적절하다고 보느냐’고 물었더니, 45.0%(54명)가 '부적절', 31.7%(38명)가 ‘매우 부적절’하다고 답해 부정적 평가가 총 76.7%에 달했다. 4명 가운데 3명 이상이 부적절하다는 평가를 내린 셈.
‘적절’ 17.5%(21명)와 ‘매우 적절’ 5.8%(7명) 등 긍정평가는 23.5%에 그쳤다.
또한 ‘최경환 경제정책을 지속할 경우 일본의 잃어버린 20년을 답습할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해 물은 결과, ‘높음’이 51.7%(62명), ‘매우 높음’이 34.2%(41명)로 총 85.9%가 일본의 잃어버린 20년을 뒤따를 것을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낮음’은 10.8%(13명), ‘매우 낮음’은 3.3%(4명)에 그쳤다.
최경환 경제정책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59.2%(71명)가 ‘경제체질 강화 등 근본적 구조개혁 결여’라고 답했으며, ‘부동산금융규제 완화로 인한 가계부실 우려’ 20.8%(25명), ‘확장적 재정정책으로 인한 재정건전성 악화’ 11.7%(14명) 순이었다.
‘경기침체 국면에서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과제(2개 선택)’를 묻는 질문에는 ‘경제민주화 추진(20.8%)’이 가장 많았으며, 이어 ‘양질의 일자리 창출(17.9%)’, ‘공공부문 개혁(17.5%)’,‘조세형평성 강화(13.8%)’,‘비정규직 처우개선 등 노동조건 개선(10.4%)’ 순이었다.
‘현재 우리 경제가 직면한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46.7%(56명)가 ‘경제양극화 및 소득불평등’을 꼽았으며, 이어 '새로운 성장동력 부재' 35.0%(42명), '저출산․고령화' 8.3%(10명), '가계부채 심화' 5.0%(6명) 순이었다.
경실련은 "박근혜 정부가 이같은 경제전문가들의 평가를 겸허해서 수렴해 지금이라도 경제정책의 방향을 선회하여 근본적 구조개혁 추진, 조세형평성 제고, 서민층 이하 지원 강화, 규제완화 철회 등에 적극 나서라"고 촉구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