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권역별 비례-오픈프라이머리 빅딜 어렵다"
"비례대표 확대가 정치발전에 도움 안돼"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5일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의 권역별 비례대표와 오픈프라이머리 빅딜 제안에 대해 "어떠한 개혁을 위해서 다른 부분을 붙여서 한다는 것은 수용하지 어렵지 않겠나"라고 거부했다.
김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우리가 정치개혁을 해야 하는 입장이고, 각각의 부분에 대한 개혁적인 제도가 만들어져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별개의 내용이다. 그러나 모처럼 야당 대표가 제안한 것이니 신중히 검토하겠다"며 "그런데 제가 5선 의원으로서 경험한 것을 얘기하면, 비례대표를 확대한다는 것은 정치발전에 도움이 안 된다고 생각한다. 비례대표 원래 취지대로 제대로 운영이 안돼왔다"고 거듭 수용불가 입장을 밝혔다.
그는 "이미 우리 당론은 정해졌다. 석패율제도를 갖고 정개특위 위원과 상의해보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달말까지인 정개특위 선거제도 협상시한과 관련해선 "정개특위 활동시한은 정해져 있지만, 선거를 앞두고 여야가 합의되지 않으면 선거를 치를 수 없으니까 활동시간에 구애받을 필요는 없다"고 연장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김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우리가 정치개혁을 해야 하는 입장이고, 각각의 부분에 대한 개혁적인 제도가 만들어져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별개의 내용이다. 그러나 모처럼 야당 대표가 제안한 것이니 신중히 검토하겠다"며 "그런데 제가 5선 의원으로서 경험한 것을 얘기하면, 비례대표를 확대한다는 것은 정치발전에 도움이 안 된다고 생각한다. 비례대표 원래 취지대로 제대로 운영이 안돼왔다"고 거듭 수용불가 입장을 밝혔다.
그는 "이미 우리 당론은 정해졌다. 석패율제도를 갖고 정개특위 위원과 상의해보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달말까지인 정개특위 선거제도 협상시한과 관련해선 "정개특위 활동시한은 정해져 있지만, 선거를 앞두고 여야가 합의되지 않으면 선거를 치를 수 없으니까 활동시간에 구애받을 필요는 없다"고 연장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