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권역별 비례제-오픈프라이머리 '빅딜' 제안
이병석 정개특위원장은 찬성, 김무성은 반대
문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저와 당은 망국적 지역주의 정치구도의 타파를 위한 선거제도 개혁 방안으로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오래 전에 제안했다. 반면 김무성과 새누리당은 공천제도의 혁신방안으로 오픈프라이머리를 주장한다. 또한 선거구획정위는 8월 13일까지 국회가 획정기준을 마련해줄 것을 요구한다"며 "이 세 가지를 여야가 함께 논의해 일괄 타결할 것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그는 "선거구를 재획정하는 이번 기회에 권역별 비례제 도입을 결정하지 못하면 내년 총선에서 시행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논의 방식은 정개특위 내 논의든 여야 대표가 만나든 어떤 형식이든 좋다. 새누리당이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수용한다면 우리당도 오픈프라이머리의 도입을 당론으로 결정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의원정수 증원 논란에 대해선 "우리당은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도입하면서 의원정수 확대 없이 현행 의원정수를 유지하면서 지역구와 비례, 의석 배분만 조정하자는 중앙선관위의 안에 찬성한다"며 "여야가 각자의 방안만 고집하지 말고 선관위의 제안을 중심으로 통 크게 타개할 것을 제안하고, 새누리당의 조속한 호응을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문 대표 제안은 정개특위 위원장인 이병석 새누리당 의원이 오픈프라이머리와 권역별 비례대표제 빅딜 수용 가능성을 시사한 데 대한 화답인 셈이다.
그러나 김무성 대표는 이병석 위원장 제안을 '사견'으로 일축하며 절대로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어서, 향후 협상과정에 난항을 예고하고 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