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리, 한국 대선주자들 '사전 검증' 논란
대선 앞두고 여야 대선주자들 잇따라 면담
'북한 선제공격론'을 폈던 윌리엄 페리 전 미국 국방장관이 한국의 대선주자들을 잇따라 만나 대북-대미정책에 대한 사전검증을 해 논란을 예고하고 있다. 북한은 앞서 미국이 한국의 대선에 개입하기 시작했다고 비난한 바 있다.
페리 전 장관은 21일 강남의 모 한정식 집에서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와 가진 만찬에서 6자회담 합의와 관련, "2.13합의는 작은 진전이다. 합의를 이룰 수 있었던 것은 UN제재와 같은 관계국들의 공조와 확고한 입장을 북에 전달함으로써 합의를 이끌어냈다"며 "한국 정부가 섣불리 승리를 외쳐서 북한에 대한 계획이 깨지지 않나 우려되기도 했다"고 노무현 정부를 비판했다. 그는 "어려운 과제는 아직도 미해결 단계에 있다"며 "성공하려면 여러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아직은 임무 완결이 된 것이 아니다. 한국 정부는 임무 완결을 외치고 싶어도 이를 물리쳐야 한다"고 거듭 노무현 정부를 비판했다.
이에 대해 박 전 대표는 "한국 정부가 섣불리 북에 대해서 선물을 준다던가 하는 우려를 전달했다"고 공감을 표시하며 "2.13합의의 성공 여부는 큰 부분에 있어서 한∙미, 한∙일, 6자 공조가 얼마나 튼튼한가에 달려있다"고 주장했다. 박 전대표는 이어 "한∙미관계의 약화는 한국뿐 아니라 미국에게도 책임이 있을 것"이라면서도 "그러나 올 연말에 한국에 새로운 정부가 그리고 내년에는 미국에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는데 이것이 양국 간의 신선한 관계를 맞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명박 전 서울시장도 앞서 이날 오전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페리 전 장관과 만나 "북핵 폐기가 완료된 뒤 평화협정을 논의해도 늦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미국이 이미 만든 핵은 어쩔 수 없고 더 이상 만들지 못하도록 적당히 타협하지 않을지 한국 국민들은 걱정한다"고 말했다.
이에 페리 전 장관은 "북한이 핵 프로그램을 개발하지 않도록 설득할 뿐 아니라 이미 개발한 핵무기도 폐기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며 "미국의 안정과 안보는 동북아 지역의 안정과 안보에 달려 있지만 이를 해칠 수 있는 두 가지 요인이 있다. 첫째는 북한의 핵무장이고 둘째는 한미 동맹의 와해로 인한 미군철수"라고 지적했다.
페리 전 장관은 이날 오후에는 조선호텔에서 손학규 전 경기도지사와도 만나 "핵문제를 조속하게 해결해야 한다"며 "한국과 미국이 같은 입장을 가지고 북한에 대해서 확고하게 (이 문제를) 강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손 전지사는 "한-미관계는 북한에 인센티브를 주면서 우방으로 발전해야 한다"며 "북한의 시장경제를 발전시켜야 민주주의를 이끌어낼 수 있다. 이를 위해 한미간에 서로 협력해야 한다"고 다소 다른 의견을 내놓았다.
페리 전 장관은 이에 "최근에 한미관계가 약간 변화했는데, 이것은 단기적인 견해와 이해관계 때문에 그렇게 된 것"이라며 "한미 모두 곧 대통령선거가 있다. 앞으로 서로의 새로운 모습을 기대한다"고 말했고, 손 전지사는 이에 "미래 한미관계 구상의 새로운 청사진을 그려야 한다"고 화답했다.
페리 전 장관은 21일 강남의 모 한정식 집에서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와 가진 만찬에서 6자회담 합의와 관련, "2.13합의는 작은 진전이다. 합의를 이룰 수 있었던 것은 UN제재와 같은 관계국들의 공조와 확고한 입장을 북에 전달함으로써 합의를 이끌어냈다"며 "한국 정부가 섣불리 승리를 외쳐서 북한에 대한 계획이 깨지지 않나 우려되기도 했다"고 노무현 정부를 비판했다. 그는 "어려운 과제는 아직도 미해결 단계에 있다"며 "성공하려면 여러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아직은 임무 완결이 된 것이 아니다. 한국 정부는 임무 완결을 외치고 싶어도 이를 물리쳐야 한다"고 거듭 노무현 정부를 비판했다.
이에 대해 박 전 대표는 "한국 정부가 섣불리 북에 대해서 선물을 준다던가 하는 우려를 전달했다"고 공감을 표시하며 "2.13합의의 성공 여부는 큰 부분에 있어서 한∙미, 한∙일, 6자 공조가 얼마나 튼튼한가에 달려있다"고 주장했다. 박 전대표는 이어 "한∙미관계의 약화는 한국뿐 아니라 미국에게도 책임이 있을 것"이라면서도 "그러나 올 연말에 한국에 새로운 정부가 그리고 내년에는 미국에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는데 이것이 양국 간의 신선한 관계를 맞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명박 전 서울시장도 앞서 이날 오전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페리 전 장관과 만나 "북핵 폐기가 완료된 뒤 평화협정을 논의해도 늦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미국이 이미 만든 핵은 어쩔 수 없고 더 이상 만들지 못하도록 적당히 타협하지 않을지 한국 국민들은 걱정한다"고 말했다.
이에 페리 전 장관은 "북한이 핵 프로그램을 개발하지 않도록 설득할 뿐 아니라 이미 개발한 핵무기도 폐기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며 "미국의 안정과 안보는 동북아 지역의 안정과 안보에 달려 있지만 이를 해칠 수 있는 두 가지 요인이 있다. 첫째는 북한의 핵무장이고 둘째는 한미 동맹의 와해로 인한 미군철수"라고 지적했다.
페리 전 장관은 이날 오후에는 조선호텔에서 손학규 전 경기도지사와도 만나 "핵문제를 조속하게 해결해야 한다"며 "한국과 미국이 같은 입장을 가지고 북한에 대해서 확고하게 (이 문제를) 강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손 전지사는 "한-미관계는 북한에 인센티브를 주면서 우방으로 발전해야 한다"며 "북한의 시장경제를 발전시켜야 민주주의를 이끌어낼 수 있다. 이를 위해 한미간에 서로 협력해야 한다"고 다소 다른 의견을 내놓았다.
페리 전 장관은 이에 "최근에 한미관계가 약간 변화했는데, 이것은 단기적인 견해와 이해관계 때문에 그렇게 된 것"이라며 "한미 모두 곧 대통령선거가 있다. 앞으로 서로의 새로운 모습을 기대한다"고 말했고, 손 전지사는 이에 "미래 한미관계 구상의 새로운 청사진을 그려야 한다"고 화답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