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천 "한-일, DJ납치사건 은폐 비밀각서 체결"
"정부, 비밀각서 덫에 걸려 옴죽달싹 못해" 주장
최재천 민생정치모임 의원이 11일 김대중 전 대통령 납치사건 당시인 지난 1973년 한-일 양국정부가 사건 은폐를 위한 비밀합의각서를 체결했고 이 때문에 우리 정부가 지금까지 사건 진상규명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최 의원은 이날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73년 11월 김종필 당시 국무총리와 일본외상으로 추정되는 인물이 일본에서 이 사건을 정치-외교적으로 종결한다는 내용의 비밀합의각서를 체결했다"며 "100%가 아니라 1천% 비밀합의각서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신한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가 진상을 밝힐 경우 합의내용 파기일 뿐만 아니라 당시 범인으로 지목된 김동운 주일 대사관 서기관에 대한 범죄인 인도요청을 하는 동시에 김대중 전 대통령을 조사하겠다는 일본측 압력 때문에 진상규명을 꺼리고 있다"며 "정부는 비밀각서의 덫에 걸려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사건발생 직후 한국 정부가 다나카 가쿠에이(田中角榮) 당시 일본총리에게 최소 4억엔을 전달했다는 증언을 실은 2002년 일본 월간지 <문예춘추>의 보도 내용과 작년 7월 아사히신문에 과거사위의 중간보고서가 통째로 보도된 경위도 진상을 규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최 의원은 이날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73년 11월 김종필 당시 국무총리와 일본외상으로 추정되는 인물이 일본에서 이 사건을 정치-외교적으로 종결한다는 내용의 비밀합의각서를 체결했다"며 "100%가 아니라 1천% 비밀합의각서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신한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가 진상을 밝힐 경우 합의내용 파기일 뿐만 아니라 당시 범인으로 지목된 김동운 주일 대사관 서기관에 대한 범죄인 인도요청을 하는 동시에 김대중 전 대통령을 조사하겠다는 일본측 압력 때문에 진상규명을 꺼리고 있다"며 "정부는 비밀각서의 덫에 걸려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사건발생 직후 한국 정부가 다나카 가쿠에이(田中角榮) 당시 일본총리에게 최소 4억엔을 전달했다는 증언을 실은 2002년 일본 월간지 <문예춘추>의 보도 내용과 작년 7월 아사히신문에 과거사위의 중간보고서가 통째로 보도된 경위도 진상을 규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