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사면대상은 관련부처가...", CJ-한화 등 기대감 고조
검찰의 롯데-대우조선 비리 수사가 막판 변수
재벌총수 사면 불허를 대선공약으로 내걸었던 박 대통령은 그동안 사면에 부정적이었고, 지난해 8월에도 최태원 SK그룹 회장 단한명만 사면했을 뿐이었다.
하지만 이번 3차 사면 분위기는 예전과 달라 보인다는 게 중론이다. 정연국 청와대 대변인은 12일 사면대상에 재벌총수가 포함될지를 묻는 기자들 질문에 "대통령께서 어제 말씀하셨으니까 관계부처에서 대상, 범위를 검토하지 않겠냐"며 법무부로 공을 떠넘겼다.
원론적 답변이나, 해석하기에 따라선 법무부가 사면대상을 정하면 재벌총수가 됐든, 정치인이 됐든 받아들일 수 있다는 뉘앙스가 읽힌다.
이에 이재현 회장이 수년째 병실 생활을 하고 있는 CJ그룹을 비롯해 집행유예 상태인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과 오는 10월 출소를 앞둔 최재원 SK그룹 수석부회장, 형기의 92%를 채운 구본상 전 LIG넥스원 부회장의 사면복권을 원하는 재계의 기대감은 더없이 높아진 상태다.
특히 CJ그룹은 지난해 11월 파기환송심에서 징역 2년 6개월의 실형과 함께 벌금 252억원을 선고받고 대법원에 재상고한 이 회장의 재상고 포기를 적극 검토중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하지만 재계 일각에서는 요즘 전방위로 확산되고 있는 롯데그룹, 대우조선해양 비리 의혹 수사가 막판 변수가 될 수 있다는 조심스런 지적도 나오고 있다. 검찰 수사결과 이들 그룹의 비리 의혹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국민적 비난여론이 비등하면서 지난해 광복절 특사때처럼 사면대상이 막판에 크게 줄어들 수도 있다는 우려를 하고 있는 것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