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 군민들 '릴레이 삭발', 촛불집회...저항 장기화
朴대통령 선영 마을, 朴대통령 사진 떼어내기도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 확정에 경북 성주군의 반발이 14일에도 이어졌다.
허승락 양돈협회 성주군 지부장, 윤지훈 성주군 양봉협의회장 등 5명은 이날 오후 군청 현관 앞에서 사드 배치 결정에 항의하며 삭발했다.
윤 양봉협의회장은 "전자파 피해가 가장 심한 게 양봉이다. 어떻게 가만히 있을 수 있겠느냐. 사드 배치는 절대 안 된다"고 말했다.
삭발식은 앞으로 자발적인 참여자를 중심으로 매일 열릴 예정이다.
오후 8시부터 군청 앞마당에서는 학부모 등 300여 명이 사드 배치를 반대하는 촛불집회를 연다.
사드 성주배치 반대 범군민비상대책위원회는 주민 설명회와 환경영향평가를 받지 않은 점을 고려해 법적 대응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법 저촉사항이 있다면 행정소송 또는 무효소송 등을 낸다는 계획이다.
국방부를 항의 방문한 뒤 이날 새벽 성주로 돌아온 김 군수는 잠시 집에 들렀다가 바로 군청 현관 앞에서 단식농성을 이어갔다.
이재복 범군민비상대책위원장 등도 농성에 합류했다.
김 군수, 이 대책위원장, 배재만 성주군의회 의장, 도의원 등 모두 12명은 사드 성주배치 확정 직전에 단식농성을 시작했다.
비상대책위는 앞으로 릴레이 삭발식과 촛불집회를 하기로 했다.
당장 뾰족한 방법이 없어 서명운동을 전개하며 국방부 움직임을 살핀다는 방침이다.
이 대책위원장은 "장기전으로 가야 할 것 같아 철저한 준비를 한다"며 "대책위 회의와 군민 의견 수렴을 거쳐 방향을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또 성산포대와 직선거리로 2㎞가량 떨어져 있는 선남면 성원1리 주민들은 이날 오후 마을회관에 걸린 가로 2m의 박근혜 대통령 사진을 떼어냈다.
사드 배치 반대 대구·경북대책위원회는 오전 11시 대구 수성구 새누리당 경북도당 앞에서 집회를 열고 "사드를 성주에 배치키로 한 결정을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30여 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대책위는 "국방부는 사드는 해발고도 400m에 설치할 예정이어서 그 아래 지역(성주군)은 안전하다고 주장하나 사드를 배치한 괌이나 일본은 레이더가 모두 바다 쪽을 향해 있다"며 "인구가 밀집한 민가를 향해 내륙으로 배치하는 사드 레이더 안전을 누가 어떻게 검증했는지 모르겠다"고 주장했다.
허승락 양돈협회 성주군 지부장, 윤지훈 성주군 양봉협의회장 등 5명은 이날 오후 군청 현관 앞에서 사드 배치 결정에 항의하며 삭발했다.
윤 양봉협의회장은 "전자파 피해가 가장 심한 게 양봉이다. 어떻게 가만히 있을 수 있겠느냐. 사드 배치는 절대 안 된다"고 말했다.
삭발식은 앞으로 자발적인 참여자를 중심으로 매일 열릴 예정이다.
오후 8시부터 군청 앞마당에서는 학부모 등 300여 명이 사드 배치를 반대하는 촛불집회를 연다.
사드 성주배치 반대 범군민비상대책위원회는 주민 설명회와 환경영향평가를 받지 않은 점을 고려해 법적 대응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법 저촉사항이 있다면 행정소송 또는 무효소송 등을 낸다는 계획이다.
국방부를 항의 방문한 뒤 이날 새벽 성주로 돌아온 김 군수는 잠시 집에 들렀다가 바로 군청 현관 앞에서 단식농성을 이어갔다.
이재복 범군민비상대책위원장 등도 농성에 합류했다.
김 군수, 이 대책위원장, 배재만 성주군의회 의장, 도의원 등 모두 12명은 사드 성주배치 확정 직전에 단식농성을 시작했다.
비상대책위는 앞으로 릴레이 삭발식과 촛불집회를 하기로 했다.
당장 뾰족한 방법이 없어 서명운동을 전개하며 국방부 움직임을 살핀다는 방침이다.
이 대책위원장은 "장기전으로 가야 할 것 같아 철저한 준비를 한다"며 "대책위 회의와 군민 의견 수렴을 거쳐 방향을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또 성산포대와 직선거리로 2㎞가량 떨어져 있는 선남면 성원1리 주민들은 이날 오후 마을회관에 걸린 가로 2m의 박근혜 대통령 사진을 떼어냈다.
사드 배치 반대 대구·경북대책위원회는 오전 11시 대구 수성구 새누리당 경북도당 앞에서 집회를 열고 "사드를 성주에 배치키로 한 결정을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30여 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대책위는 "국방부는 사드는 해발고도 400m에 설치할 예정이어서 그 아래 지역(성주군)은 안전하다고 주장하나 사드를 배치한 괌이나 일본은 레이더가 모두 바다 쪽을 향해 있다"며 "인구가 밀집한 민가를 향해 내륙으로 배치하는 사드 레이더 안전을 누가 어떻게 검증했는지 모르겠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