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환구시보> "한국에 과실 상해 입히고 싶지 않으니 한국도..."
"사드 배치는 중국 등에 칼을 꽂는 것"
환구시보가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의 자매지로서 민감한 외교 사안에 대해 중국 당국의 시각을 에둘러 전해왔다는 점에서, 이 매체의 이런 보도는 중국 당국이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보다 사드 문제를 최우선 순위로 여긴다는 인식을 드러낸다.
아울러 앞으로 유엔 안보리의 대북제재와 관련해서도 사드 문제를 계속 걸고넘어지겠다는 의지를 표현한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환구시보는 이날 '사드가 북핵을 둘러싼 안보리의 단결을 깨뜨렸다'는 제하의 사평(社評)에서 "중국과 미국이 사드배치와 북한의 미사일 발사규탄에 대해 마찰을 빚으면서 유엔 안보리가 성명을 낼 수 없었다"며 성명 채택 불발의 배경을 설명했다.
신문은 "미국이 이번 북한의 미사일 발사 후 안보리에서 대북 성명을 내자고 했으나, 중국은 관련 당사국들이 어떠한 긴장 조성 행위를 해서는 안 되며 동북아에 탄도요격미사일 거점을 배치해서는 안 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고 전했다.
이어 한미 양국의 한반도 사드배치 결정은 동북아에 새로운 도전이며 그로 인해 북한의 핵 문제를 반대하는 국제공조가 무너지고 있다면서, 한국·일본 그리고 미국·일본 동맹이 가져온 냉전의 곰팡냄새가 가득 차고 있다고 비난했다.
환구시보는 또 "중국은 유엔 (안보리)의 대북제재에 참여함으로써 북·중 관계에 손실을 봤는데 한미 양국이 북핵 위협을 이유로 사드를 배치한다면 이는 중국의 안전에 직접적인 위협이자 중국 등에 칼을 꽂는 것과 같다"는 표현으로 거친 비난을 이어갔다.
신문은 "한국이 미국의 사드 대리인이 돼서 중국과 충돌하면 역내 위기의 새로운 태풍의 핵이 될 것"이라면서 "중국은 한국에 과실 상해를 입히고 싶지 않으니 한국도 미국과 중국의 교착지대를 피하려고 노력해야 하며 한중은 우호 국가이므로 한국이 중국을 위협하면 안 된다"고 경고했다.
정지융(鄭繼永) 푸단대 조선·한국연구센터 주임은 "안보리가 북한을 규탄하는 성명을 통과시킬 수 없었던 데는 사드의 한반도 배치 결정이 중요한 원인 중에 하나라는 것은 명백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사드는 중국의 안보와 관련된 문제로 사드가 배치되면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함께 동북아의 긴장을 조성할 것이므로 당연히 안보리 성명에도 들어가야 한다"면서 "중국이 대북제재에 동참해왔으나 미국과 한국이 사드배치 결정으로 중국과 약속을 파기했는데 과연 누구 잘못인지는 식견이 있다면 바로 알 수 있다"고 비난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