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새누리당이 18일 경주 강진 피해 대책 긴급협의회를 열고, 경북 경주 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이정현 새누리당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긴급 당정협의회에서 정부에 대해 “현지 조사를 벌여 요건이 충족된다면 최대한 빨리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는 방안을 검토해달라”며 “현지 주민들의 생활 안정을 위한 재난 지원금은 우선 법적 규모내에서 해야겠지만 조사가 끝나기 전에 우선적으로 내려보내는 게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이성호 국민안전처 차관은 “경주의 경우 피해액이 75억원이 넘어야 특별재난구역으로 선포할 수 있다”며 “2차 피해가 우려되기 때문에 다시 한번 조사해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겠다”며 사실상 선포 방침을 분명히 했다.
특별재난지역은 자연재해 등으로 큰 피해를 입은 지역의 복구를 정부 차원에서 지원하기 위해 대통령이 선포한다. 앞서 경북도는 지난 12일 경주시 일대를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해달라고 정부에 요청한 바 있다.
경주가 지역구인 김석기 의원은 경주에 관광객이 많이 오는 시기인데 숙박업소의 피해가 크다“며 ”경주 시민 입장에서 피해가 엄청나다는 것을 인정해달라“고 즉각적 재난지역 선포를 촉구했다. 이 대표 역시 ”농림부의 저수지 대책, 미래부의 교통체계 대책 등 정부의 합동조사를 한번 더 해달라“고 주문했고 이석주 국무조정실장은 ”그렇게 하겠다“고 밝혔다.
긴급 협의회에는 당에서 이 대표를 비롯해 김광림 정책위의장, 김석기 의원, 관련 국회 상임위원회 간사들이, 정부에서는 김재수 농림부 장관, 최양희 미래부 장관, 고윤화 기상청장, 나선화 문화재청장, 제정부 법제처장, 박춘섭 기획재정부 예산실장 등이 참석했다.
http://newstapa.org/35040 [뉴스타파 보도] 1만6천여 명이 격리되고, 186명이 감염되어 38명이 사망한 2015년 메르스 사태는 11월 25일 80번 환자가 사망하면서 공식 종료되었다. 그러나 마지막까지 음압병실에 격리되었던 80번 환자가 겪어야 했던 일은 대한민국 정부와 의료계의 무책임함을 적나라하게 보여주고있다.
조건이 된다면 당연히 지정을 해야지요 그 정도보다 더 큰 피해에도 지정을 하지 않은 것도 많습니다 이 번 농촌에 가뭄이 엄청났는데도 그런 지정을 하지도 않았습니다 엄청난 폭염에도 지정하지 않았습니다 전기세 쬐금 깍아주었습니다 경주지진이 정말로 특별재난지역 맞습니까 새누리 오바하고 있지 않은지
노예로 살다가 한반도에 도망치다 이주 했으면서,,신라가 통수로 삼국통일 하니 백제 후손 일본열도가 가만히 있었겠냐?? 그러니 몇백전동안 경상도 지역에 약탈 강간 살인이 있었지 나중엔 왜구들이 와도 그냥 집안에서 기다렸다 한다 무슨 관례처럼 오직 경상도 지역에만(이때 경상도 일본피 개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