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정 통일 "DJ 방북, 北과 이미 논의"
국개인 자격 아닌 대통령 특사 자격 방북 시사
이재정 통일부장관이 23일 김대중 전 대통령의 방북 문제와 관련, "북한과 공식, 비공식적으로 얘기를 나눴다"며 "언제든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고 밝혀 주목된다. 이는 앞서 이해찬 전총리와 평양을 방문했던 친노직계 이화영 열린우리당 의원이 "북한이 DJ 방북에 소극적인 것 같다"고 말한 것과는 다른 뉴앙스의 발언이기 때문이다.
이 장관은 이날 국회 남북평화통일특위 전체회의에 출석해 "김 전 대통령도 찾아뵙고 방북 의사와 함께 어떤 경로가 좋은 지에 대해 직접 말씀을 나눴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김 전 대통령의 방북은 이미 북한이 초청 의사를 밝힌 바 있으며, 도중에 이런저런 이유로 실현되지 못하고 있지만 언제든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DJ의 방북자격에 대해 "개인으로 가는 게 아니라 적어도 1차 남북정상회담을 만들고 평화를 정착하신 비중있는 분이라는 점을 고려해 진행해 나가겠다"고 말해 대통령 특사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 장관은 남북정상회담 추진 논란과 관련해선, "정상회담은 국가 이익과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해 가장 유용하고도 가치 있는 대화채널"이라며 "다만 현 단계에서는 구체적으로 추진하는 바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에 억류중인 국군포로의 규모에 대해서는 "과거 분단될 당시로 따진 것이 8만7천명 정도였다"며 "그러나 그 뒤 상황이 바뀌어서 지금은 대략 4백-5백명선, 4백50명 정도로 추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장관은 이날 국회 남북평화통일특위 전체회의에 출석해 "김 전 대통령도 찾아뵙고 방북 의사와 함께 어떤 경로가 좋은 지에 대해 직접 말씀을 나눴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김 전 대통령의 방북은 이미 북한이 초청 의사를 밝힌 바 있으며, 도중에 이런저런 이유로 실현되지 못하고 있지만 언제든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DJ의 방북자격에 대해 "개인으로 가는 게 아니라 적어도 1차 남북정상회담을 만들고 평화를 정착하신 비중있는 분이라는 점을 고려해 진행해 나가겠다"고 말해 대통령 특사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 장관은 남북정상회담 추진 논란과 관련해선, "정상회담은 국가 이익과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해 가장 유용하고도 가치 있는 대화채널"이라며 "다만 현 단계에서는 구체적으로 추진하는 바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에 억류중인 국군포로의 규모에 대해서는 "과거 분단될 당시로 따진 것이 8만7천명 정도였다"며 "그러나 그 뒤 상황이 바뀌어서 지금은 대략 4백-5백명선, 4백50명 정도로 추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