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주성영, '김경준 자료' 법무부 요청 파문

'이명박 검증' 새국면 진입? 주는 '이명박 선거법위반 담당검사'

'김경준 의혹'이 마침내 공론화될 조짐을 보여 이명박 검증의 새로운 국면이 시작되는 게 아니냐며 정가의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주성영 의원, 법무부에 김경준 자료 제출 요청

28일 국회에 따르면, 국회 법사위 소속 한나라당 주성영 의원은 지난 26일 법무부에 옵셔널벤처코리아 사기사건 등과 관련해 송환 요청을 해놓은 김경준씨의 국내송환 및 인도를 위해 검찰이 기울인 노력과 경과에 대한 자료제출을 요청했다.

김씨는 지난 2000년 옵셔널벤처코리아라는 회사를 운영하다가 2001년 12월 회사돈 3백80여억원을 빼내 미국으로 도주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에 수천억원대 피해를 보게된 소액주주들은 김씨에 대해 공금횡령 및 공문서 위주 등의 혐의로 고발했고, 김씨와 동업한 이명박 전서울시장과 이 회사에 투자한 이 전시장 친형 소유의 (주)다스도 김씨를 투자사기 및 횡령혐의로 고소고발했다.

검찰은 2004년 1월 미국 정부에 범죄인인도조약에 따라 김씨의 국내송환을 요구했으며, 이에 미 연방수사국(FBI)은 2004년 5월27일 김씨의 LA 베버리힐즈 자택에서 그를 긴급 체포해 미연방구치소에 구금한 상태에서 현재 재판이 진행 중이다.

LA지법은 지난해 10월 판결을 통해 한국검찰의 김씨 송환 요구에 대해 "한국검찰의 김씨에 대한 혐의를 전면적으로 인정해 한국송환에 하자가 없다"고 판결하며 김씨가 제출한 인신구속해체 신청을 기각했고, 이어 LA연방법원도 지난 1월18일 같은 판결을 내려 김씨 송환이 임박한 게 아니냐는 관측을 낳았다.

그러나 LA연방법원이 지난 14일 그동안 동결해온 김씨와 누나 에리카김 등 부모가족 소유의 스위스예치금 1천5백만달러를 비롯해 저택, 부동산, 미국내 현금, 차량 등 3천만달러에 대해 전면해제 명령을 내림으로써 이에 고무된 김씨측이 2차 송환 중단 항소를 제기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김씨가 소환될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LA연방검찰은 앞서 지난해 8월28일에서 9월2일까지 엿새간 한국에 연방검사를 파견해 주한미대사관에서 김경준 사기 피해자들을 만나 증인심문을 하기도 했다. 이명박 전시장은 그러나 이 심문에 참석하지 않았다.

김경준 의혹을 집요하게 다뤄온 미국 교포신문 <선데이저널>. ⓒ선데이저널


이명박-에리카 김-김경준

외형상 단순사기 사건으로 보이는 이 사건이 그동안 정치권의 비상한 관심을 모아온 건 김경준씨와 이명박 전시장과의 남다른 관계 때문이다.

1995년 이 전시장은 에리카 김이라는 재미교포변호사의 서울 출판기념회에 참석했다. 그후 국내에서 주가가 폭등하던 1999년 '텍스헤이븐(조세회피지)'인 영국령 버진아일랜드에 BBK라는 투자자문회사가 설립됐고, 이 회사의 한국지사 대표를 에리카 김 동생인 김경준씨가 맡았다. 2000년 2월 이 전시장은 김경준씨와 동업으로 각각 30억원씩을 내 LK이뱅크라는 회사를 설립하고 공동대표를 맡았다. LK는 이명박 전시장과 김경준씨의 이니셜을 딴 것이었다.

이 전시장 큰형과 처남이 최대주주인 다스도 회사설립 다음달인 2000년 3월부터 12월까지 1백90억원을 투자했다. 다음해인 2001년 3월 김경준씨가 LK이뱅크에 투자한 30억원이 김씨 개인돈이 아니라 BBK 회사돈으로 드러났다. BBK는 그러나 김씨를 징계하는 대신 그후 광주의 광은창투를 인수해 '옵셔널벤처스'로 상호를 바꾼 뒤 김씨를 대표이사에 임명했다. 외국계로 매각소식에 광은창투 주가는 폭등했고, 이에 김경준은 보유주식을 매각해 차익을 챙기는 동시에 회사자금 3백84억원을 빼내 위조여권으로 미국으로 빠져나갔다.

이에 이 전시장과 다스는 각각 30억원(LK이뱅크 투자금)과 1백40억원(BBK투자금)의 피해를 봤다며 미국에서 김경준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이후 김경준은 미국 검찰에 체포됐다.

이렇듯 김경준 사건을 보면 이 전시장측 또한 피해자다. 그러나 정치권은 이에 관련, 이명박-에리카 김-김경준을 엮으며 뭔가 있는 게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해왔고, 이 전시장 친형 회사 다스가 막대한 돈을 투자한 배경과 관련해서도 다스가 사실상 이 전시장 회사가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해왔다.

이 전시장측은 이와 관련, 이 문제를 다룬 <신동아> 2월호와 인터뷰에서 "정치권이 사기꾼의 어설픈 서류로 공세를 편다면 그것은 제2의 김대업 조작 폭로전으로 규정돼 역풍을 맞게 될 것"이라고 반박한 바 있다.

주성영 의원은 이명박 선거법 위반 담당검사이기도...

김경준 의혹의 표면화와 동시에 정가의 또다른 관심사는 자료를 요청한 의원이 다름아닌 주성영 의원이라는 데 있다. 검사 출신의 주 의원은 대구지역 의원으로 특정계파에는 속하지 않았으나 박근혜 전대표쪽에 가까운 의원으로 분류되고 있는 데다가, 1996년 이명박 선거법 위반 당시 담당검사였기 때문.

이에 대해 주 의원측은 "범죄인 인도상황에 대한 자료를 요청한 것은 여권이 한나라당을 곤경에 빠트리기 위해 김경준씨와 관련해 송환시기를 조절한다는 등의 '설'이 있어서 검찰과 정치권간 조율이 있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라고 당내 검증공방과 무관함을 강조하고 있다.

실제로 주의원측 주장대로 최근 열린우리당은 최근 '이명박-에리카 김' 의혹을 제기하며 공론화 조짐을 보이기도 했다.

윤원호 열린우리당 최고위원은 지난 23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내가 1주일 동안 출장을 다녀왔다"며 "미국 갔더니 미국 전역의 교포신문에서 이명박 후보와 관련된 에리카 김 이야기가 각 신문마다 다 나왔다"고 '에리카 김'과 이 전시장간 의혹을 끄집어냈다. 그는 "이런 후보를 과연 국민들이 선택할 수 있을까"라고 반문한 뒤, "대통령 후보라고 하지만 한나라당에서는 철저하게 이명박 후보를 검증해 주실 것을 거듭 부탁드린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주성영 의원측의 이같은 해명에도 불구하고 최근 박근혜계가 공공연히 "한 방이면 간다"는 식의 공세를 펴오는 과정에 오비이락격으로 주 의원이 김경준 관련 자료 제출을 요구했다는 점에서 향후 일파만파의 파문을 예고하고 있다.
최병성 기자

관련기사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