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수퍼 호황', 삼성전자 영업이익 9조2천억
1분기에도 반도체 30%이상 폭등 예상, 위기의 경제에 숨통
이는 전분기(5조2천억원)보다 무려 76.92%, 전년 동분기(6조1천400억원)보다 49.84% 급증한 '어닝 서프라이즈'다.
삼성전자 영업이익이 9조원대에 올라선 것은 2013년 3분기 역대 최고치인 10조1천600억원 이후 13분기 만이다.
삼성전자의 작년 영업이익 합계는 29조2천200억원으로 전년(26조4천100억원)보다 10.64% 증가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4분기 매출 53조원을 기록해 전분기(47조8천200억원)보다 10.83% 증가했으나 전년 같은 분기(53조3천200억원)보다는 0.60% 감소했다.
삼성전자의 작년 매출 합계는 201조5천400억원으로 전년(200조6천500억원)보다 0.44% 증가했다. 5년 연속 200조 돌파다.
작년 3분기에 갤럭시노트7 리콜 사태로 영업이익이 5조원대로 급락했던 삼성전자가 이처럼 급반전할 수 있었던 것은 '반도체 수퍼 호황'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작년 4분기에 반도체 부문에서 최소 4조5천억원에서 최대 5조원, 스마트폰 등 IM(IT모바일) 부문에서 2조원대, 디스플레이(DP)와 소비자가전(CE) 부문에서 각각 1조원가량의 영업이익을 올린 것으로 추정된다.
반도체시장조사기관 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D램 가격 판단의 기준이 되는 'PC용 D램 DDR3 4GB(기가바이트) 모듈(현물)'의 최근 계약가격이 25달러를 돌파하며 최근 두 달 사이에 약 39% 급등했다. 여기에다가 D램익스체인지는 이번 1분기에 PC D램 평균계약가격이 30% 이상 더 오를 것으로 예상했다.
삼성전자의 전세계 D램 시장 점유율은 50%에 달하고 있어, 삼성전자는 올 1분기에도 10조원 이상의 영업이익을 올릴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지난 2년간 부진한 모습을 보였던 반도체가 세계경제 회복에 힘입어 수퍼 호황 국면에 진입하면서 위기의 한국경제에 한줄기 숨통이 트이는 양상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