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한한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이 17일 "북한에 대한 전략적 인내는 이제 끝났다"며 군사 행동까지 시사한 데 대해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 등 구여권은 반색하며 환영 입장을 밝혔다.
자유한국당 김명연 수석대변인은 이날 서면 브리핑에서 "오늘 기자회견은 강력한 한미동맹을 재확인한 자리로서 환영하는 바"라며 "탄도미사일 발사와 화학무기를 통한 암살 등 무모한 도발을 이어가는 북한에 대해 더 이상 경거망동하지 말라는 강력한 경고의 메시지를 전한 것으로 본다"고 반색했다.
그는 이어 "향후 굳건한 한미동맹을 바탕으로 대한민국 안보와 한반도 평화를 지켜나갈 수 있길 바라며, 중국 당국의 사드 보복 조치도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며 "정부는 국민 불안을 최소화하고 대한민국 안보를 지키는 데 더욱 만전을 기해주길 당부한다"고 덧붙였다.
바른정당 이기재 대변인도 구두논평에서 "틸러슨 국무장관의 대북 제재의 수위를 높이겠다는 강한 의지에 지지를 보낸다"며 "이는 미온적인 대북정책으로 북한의 핵미사일 위기를 자초해왔던 기존 노선을 전환하는 것으로, 한반도 위기 상황 극복에 큰 의미가 있다고 본다"고 환영했다.
그는 이어 "정부와 정치권은 굳건한 한미동맹을 바탕으로 동북아 평화 질서를 유지하는 데 힘을 모아 나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북정책에서 '선제 타격' 제외 확인 “북한이 주한미군이나 주일미군을 향해 대응 반격을 할 경우 미국의 우방인 한국과 일본이 전쟁에 휘말리게 되고, 결과적으로 태평양에서 중국의 입지가 커질 가능성까지 있어 선택지에서 제외한 것으로 알고 있다” 美국무부, 북한 테러지원국 재지정도 난색 2017-03-17
틸러슨 "북한에 1조5천억 줬는데 실패했다"…협상신중론 피력 마크 토너 미국 국무부 대변인 미국이 북한이 다른 길을 가도록 독려하기 위해 13억 5천 달러(약 1조 5천272억 원)를 제공한 기간을 포함한다 1995년부터 2008년까지 14년 동안 북한에 지원한 총액 "50%가 식량 지원, 40%가 에너지 지원" 연합뉴스 2017-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