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현대차 세타2 엔진' 결함…그랜저·쏘나타 등 17만대 국내서 '늑장 리콜'

2년 전 미국에서는 리콜하고 한국선 안하다 뒤늦게 리콜

그랜저, 쏘나타 등 현대·기아자동차의 5개 차종에 장착된 세타2 엔진의 제작 결함이 발견돼 차량 약 17만대가 리콜(시정조치)된다.

현대차[005380]는 지난 2015년 세타2 엔진 결함으로 미국에서 리콜할 당시 국내 차량의 경우 문제가 없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정부의 이번 조사 결과가 나오기 직전에야 자진 리콜을 결정하면서 '늑장대응'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그랜저(HG), 쏘나타(YF), K7(VG), K5(TF), 스포티지(SL) 등 현대차의 5개 차종 17만1천348대에 대해 리콜을 실시한다고 7일 밝혔다.

리콜 대상은 2013년 8월 이전에 생산된 세타2 엔진 장착 차량으로 그랜저 11만2천670대, 쏘나타 6천92대, K7 3만4천153대, K5 1만3천32대, 스포티지 5천401대다.

이는 최근 5년간 단일 사안으로 리콜된 사례 중 현대차 아반떼 등 19개 차종(82만5천대·2013년), 르노삼성 SM5·SM3(39만2천대·2015년)에 이어 세 번째로 큰 규모다.

앞서 국토부는 세타2 엔진을 장착한 현대차의 일부 모델에서 엔진 소착(마찰열로 인해 접촉면이 달라붙는 현상)으로 인해 주행 중 시동 꺼짐 현상이 발생한다는 언론 보도와 소비자 신고가 이어지자 작년 10월 제작결함 여부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조사를 맡은 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은 2013년 8월 이전에 생산된 세타2 엔진에서 소착 현상이 나타난다는 사실과 함께 이것이 안전운행에 지장을 주는 제작 결함일 가능성이 크다는 결과를 지난달 말 국토부에 보고했다.

연구원이 확인한 사례는 ▲ 작년 10월 9일 K5 2.0 T-GDI 엔진 파손·화재 ▲ 올해 3월 5일 K5 2.0 T-GDI 엔진 파손·화재 ▲ 올해 3월 12일 K7 2.4 GDI 엔진 소음·출력 저하 등 3건이다.

이 밖에 엔진 소음과 진동이 심하다는 소비자 신고는 더 많지만 주관적 요인이 크다고 보고 결함 사례로 판단하지는 않았다.

당초 국토부는 세타2 엔진에 대한 리콜이 필요한지를 결정하기 위해 이달 20일 전문가들로 구성된 제작결함심사평가위원회에 조사 결과를 상정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현대차가 지난 3일 국토부에 자발적인 리콜 시행 의사를 밝힌 데 이어 전날 리콜계획서를 제출함에 따라 제작결함 조사를 종료하고 시정계획의 적정성만 평가하기로 했다.

현대차의 리콜계획서에 따르면 2013년 8월 이전에 생산된 세타2 엔진은 크랭크 샤프트라는 엔진 부품에 오일 공급 구멍을 만드는 과정에서 문제가 생겼다.

해당 공정에서 기계 불량으로 금속 이물질이 발생하는 바람에 크랭크 샤프트와 엔진 내 다른 부품인 베어링의 마찰이 원활하지 못한 소착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이는 주행 중 시동 꺼짐이나 엔진 파손 등으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

2013년 8월 이후에는 현대차가 오일 구멍을 뚫는 공정을 보완해 이러한 문제가 해결된 것으로 파악됐다.

현대차는 전체 리콜 대상 차량을 대상으로 소음 정도를 측정하는 등 추가 검사를 한 뒤 결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차량에 한해서만 새롭게 개선한 엔진으로 교체한다는 계획이다.

엔진의 일부 부품 결함으로 시동 꺼짐 현상이 발생해 소규모 리콜이 이뤄진 적은 다수 있었지만 엔진 전체를 교체하는 리콜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국토부는 전했다.

리콜 개시 시점은 새 엔진 생산에 소요되는 기간, 엔진 수급 상황, 리콜 준비 기간 등을 고려해 올해 5월 22일로 정해졌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용자 안전을 위해 차량 결함을 조속히 시정해야 하는 만큼 현대차의 리콜계획을 우선 승인했다"며 "추후 리콜방법, 대상 차량의 적정성 등에 대한 검증을 추가로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앞서 현대차는 2015년 9월 미국에서 세타2 엔진을 장착한 2011∼2012년식 쏘나타(YF) 약 47만대를 리콜했고 2013∼2014년식은 보증 수리 기간을 연장했다.

국내에서도 일부 소비자들이 세타2 엔진의 결함을 주장했으나 현대차는 "미국 현지 공장의 생산공정 청정도 관리 문제로 발생한 사안이라 국내 차량과는 무관하다"고 밝힌 바 있다.

국토부는 국내 리콜 역시 생산공정의 청정도와 관련이 있다고 추정하며, 현대차가 의도적으로 결함을 은폐하거나 축소한 증거가 있는지를 별도로 조사한다는 방침이다.

'늑장 리콜' 의혹에 대해 현대차는 "2015년 미국에서 한 리콜과 이번 국내 리콜은 원인이 전혀 다르다"며 "미국 리콜 당시 문제가 됐던 것은 국내에서 발생하지 않은 현상이었다"고 해명했다.

현대차는 "작년 10월부터 국토부의 제작결함 조사에 성실히 협조해왔다"면서 "보증수리 기간 연장 후 이전보다 많은 고객이 점검을 받게 되면서 해당 문제 가능성을 발견, 분석한 결과 리콜 사안이라고 판단해 국토부에 바로 신고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댓글이 6 개 있습니다.

  • 0 0
    행오기

    참 잼있어서 공유합니다 이런 영상 보신적 있나요? 궁금하시면 들어와 보시고 빵빵 웃어 봅시다
    https://youtu.be/OVrx16za6QI

  • 0 0
    ㅎㅎ 저도 공유하나 할게요

    https://youtu.be/1Lbgm0bf4Qo

    이것인니다!

  • 0 0
    gmj tmad

    지치고 힘든분들을 위해 좋은 영상 공유합니다

    https://youtu.be/63ls2gXPOPI

  • 0 0
    부도덕한 업체

    현기차는 2013년8월경에는 엔진결함을 알았다는거네.미국에서의 리콜과는 원인이 다르다고 했지만 엔진결함이 치명적인 것은 한국이라고 다를까? 우리나라는 형식승인을 통해 현기차가 확보하지 못한 기술에 대해서는 승인을 안해주다 현기차가 개발완료되면 그제사 승인해주는것 같던데.. 정부관료 중에도 특정 대기업에만 너무 우호적인것 같고...반드시 적폐청산이 필요해

  • 5 0
    자동차엔진은..

    압축비높이고..밸브개폐길이 늘리고..점화시기 앞당기면..
    얼마든지 고성능을 만들수있다..그런데 왜 그렇게 안할까?..
    바로 열때문이다..그래서 독일엔진은 벼라별 금속코팅이
    되서나오는데..그러면..단가가 올라가서 안팔린다..
    방법은 부품공급하는 중소기업 단가후려치고 금속코팅
    안하여 가격은 내리고 잦은고장의 비용은 소비자에게
    떠넘기면된다..

  • 0 5
    누가 남을 것인가?

    이번 대선을 계기로 민주, 국민, 바른, 자유 4개정당중 2개는 사라진다
    민주당이 집권하면 국민당, 바른당이 사라지고
    국민당이 집권하면 민주당, 자유당이 사라진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