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마침내 인텔 제치고 '반도체 왕좌' 차지
'24년 인텔 아성' 붕괴, 반도체업계의 기념비적 사건
삼성전자가 지난 2분기에 장장 24년간 전세계 반도체업계 1위였던 미국 인텔을 제치고 글로벌 반도체업계의 '왕좌'를 차지했다.
인텔은 28일 뉴욕증시 마감 직후 2분기 실적 보고서를 통해 매출 148억달러, 영업이익 38억달러를 각각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전년 동기보다 매출은 9%, 영업이익은 190% 증가한 수치다.
그러나 전날 삼성전자가 발표한 2분기 반도체 사업부문 매출 17조5천800억원(약 158억달러)과 영업이익 8조300억원(약 72억달러)에는 턱없이 못 미치는 수치다.
특히 영업이익률은 삼성전자가 무려 45.7%를 기록했으나 인텔은 25.7%에 그쳐 현격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최근 모바일 시장의 급성장으로 D램과 SSD(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가격도 폭등하는 과정에 삼성전자의 주력제품인 메모리칩 시장이 인텔의 주력인 CPU(중앙처리장치) 시장보다 더 크게 성장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올해 하반기에 D램 등 반도체값이 더 오를 것으로 예상되면서, 삼성전자는 연간 기준으로도 인텔을 여유있게 제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인텔은 28일 뉴욕증시 마감 직후 2분기 실적 보고서를 통해 매출 148억달러, 영업이익 38억달러를 각각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전년 동기보다 매출은 9%, 영업이익은 190% 증가한 수치다.
그러나 전날 삼성전자가 발표한 2분기 반도체 사업부문 매출 17조5천800억원(약 158억달러)과 영업이익 8조300억원(약 72억달러)에는 턱없이 못 미치는 수치다.
특히 영업이익률은 삼성전자가 무려 45.7%를 기록했으나 인텔은 25.7%에 그쳐 현격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최근 모바일 시장의 급성장으로 D램과 SSD(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가격도 폭등하는 과정에 삼성전자의 주력제품인 메모리칩 시장이 인텔의 주력인 CPU(중앙처리장치) 시장보다 더 크게 성장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올해 하반기에 D램 등 반도체값이 더 오를 것으로 예상되면서, 삼성전자는 연간 기준으로도 인텔을 여유있게 제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