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 대우조선 인수 확정. "최대한 고용안정"
"조선산업의 경쟁력 강화 위해 불가피"
현대중공업그룹이 8일 공식적으로 대우조선해양을 인수했다.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과 권오갑 현대중공업 부회장은 이날 오후 여의도 산은 본점에서 대우조선 지분 인수 계약서에 서명했다. 이로써 대우조선 주인은 20년만에 산은에서 현대중공업으로 바뀌게 됐다.
이들은 서명 직후 공동발표문에서 대우조선 민영화에 대해 "우리나라의 대표 수출산업인 조선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것"이라며 "궁극적으로는 고용을 안정시키고, 조선업을 더욱 발전시키며,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합병에 반발하는 대우조선에 대해선 "(현대중에) 인수되더라도 현재의 자율적 책임경영체제가 유지될 것"이라면서 "인수를 통한 시너지 효과를 최대한 발현시키기 위해 기초연구 관련 조직의 협업체계 구축 및 자원의 효율적 배분 등을 통해 기술력과 경쟁력을 제고시켜 대우조선의 가동률을 극대화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대규모 해고를 우려하는 대우조선 노동자들에 대해선 "고용안정을 약속한다"며 "생산성이 유지되는 한 대우조선 근로자들에 대한 고용보장은 기존 현대중공업그룹과 동일한 조건으로 지켜질 것"이라고 약속했다.
이들은 대우조선 협력업체 및 부품업체들에 대해서도 "협력업체와 부품업체는 지역경제의 중요한 한 축"이라며 "대외 경쟁력이 있는 협력업체와 부품업체의 기존 거래선은 그대로 유지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과 권오갑 현대중공업 부회장은 이날 오후 여의도 산은 본점에서 대우조선 지분 인수 계약서에 서명했다. 이로써 대우조선 주인은 20년만에 산은에서 현대중공업으로 바뀌게 됐다.
이들은 서명 직후 공동발표문에서 대우조선 민영화에 대해 "우리나라의 대표 수출산업인 조선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것"이라며 "궁극적으로는 고용을 안정시키고, 조선업을 더욱 발전시키며,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합병에 반발하는 대우조선에 대해선 "(현대중에) 인수되더라도 현재의 자율적 책임경영체제가 유지될 것"이라면서 "인수를 통한 시너지 효과를 최대한 발현시키기 위해 기초연구 관련 조직의 협업체계 구축 및 자원의 효율적 배분 등을 통해 기술력과 경쟁력을 제고시켜 대우조선의 가동률을 극대화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대규모 해고를 우려하는 대우조선 노동자들에 대해선 "고용안정을 약속한다"며 "생산성이 유지되는 한 대우조선 근로자들에 대한 고용보장은 기존 현대중공업그룹과 동일한 조건으로 지켜질 것"이라고 약속했다.
이들은 대우조선 협력업체 및 부품업체들에 대해서도 "협력업체와 부품업체는 지역경제의 중요한 한 축"이라며 "대외 경쟁력이 있는 협력업체와 부품업체의 기존 거래선은 그대로 유지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