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최측근 정두언 한나라당 의원이 박근혜계의 최측근 이혜훈, 곽성문 의원을 지목해 “내년 총선에 출마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고 발언해 파문이 일고있다. 이 전시장이 대선에서 승리할 경우 내년 국회의원 총선때 공천을 안해주겠다는 사실상의 최후통첩성 발언으로 박근혜계가 받아들이고 있기 때문이다.
정두언 "이혜훈-광선문 차기총선 못 나갈 수도"
이명박 캠프의 기획본부장을 맡고 있는 정 의원은 3일 서울 염창동 당사를 찾아 “한나라당 내부에서 피아를 구분 못하고 천둥벌거숭이들이 흙탕물 치듯 아군에게 공격이 심하다”며 박 전 대표측의 대운하 공세를 정면 비판했다.
그는 이 과정에서 “특히 서울의 L의원, 대구의 K의원은 다음 선거에 출마가 불가능할 정도로 비방이 심하다”며 “이런 일이 계속되면 당 윤리위에 회부하고 그래도 해결 안 되면 다음 단계로 갈 수밖에 없다”며 이같이 경고했다.
그는 당 검증에 대해서도 “지난번에 끝났나 했더니 또 한다. 결과가 나쁘게 나오면 검증이고 좋게 나오면 아니다라는 유아적 사고가 어딨느냐”라고 반문한 뒤, “검증의 대상인 후보가 검증을 요구하는 것은 국민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일이다. 지지율은 검증의 종합성적표”라고 주장했다.
정 의원이 지목한 L의원과 K의원은 박 전 대표 캠프의 이혜훈, 곽성문 의원. 그는 이 의원의 경우 “한 일간지에 이 전 시장의 성 접대 의혹 등을 담은 기고를 했다”며 공천 불가를 밝혔다. 이 전 시장의 또 다른 측근은 곽 의원의 경우 최근 기자들과 사석에서 이 전 시장의 재산 형성 의혹을 제기하는 등 허위 사실을 유포했다고 주장했다.
정 의원은 “이들에 대한 증거물을 갖고 있다”며 “허위 사실 유포나 후보 비방은 굉장히 중한 처벌을 받는 행위로, (이혜훈, 곽성문 의원은) 다음 선거에 출마 못할 상황까지 와 있다”고 경고했다.
이명박 전 서울시장 측 정두언 의원이 3일 염창동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내부에서 분열을 하니까 노무현 대통령도 한나라당을 비판한다며 박근혜 진영을 비판하는 과정에 박근혜계에 대한 공천 박탈을 경고해 파문이 일고 있다. ⓒ연합뉴스
한선교 "정두언은 천둥벌거숭이"
정 의원 발언에 당연히 박 전 대표측은 발끈했다.
박 전 대표측 한선교 대변인은 이 날 논평을 통해 “천둥벌거숭이라 함은 세상 무서운 줄 모르고 천둥이 치는 곳에서도 벌거벗고서 이리저리 함부로 뛰어 다니는 사람. 앞뒤 가리지 않고 마구 나서서 내대는 사람 즉, 철 없는 사람을 일컫는 말”이라며 “정두언 의원 자신의 행동을 뒤돌아봐야 할 것”이라고 정 의원을 질타했다. 그는 이어 “이 전 시장 캠프는 우리가 뭐라고 말만 하려 하면 경끼를 일으키며 네거티브 한다고 합창을 해왔다”며 “그런데 이번엔 가만히 앉아 있다 마른하늘에 날벼락 맞는 격으로 아예 웃음도 나오지 않는다”고 이 전 시장 캠프 전체를 싸잡아 비난했다.
그는 “천둥벌거숭이가 흙탕물을 만든다느니 어느 지역의 특정 의원들을 가리켜 18대 총선 출마불가까지 거론하는 등 정치적 도의는 물론이고 그의 정신상태가 도를 넘었음을 볼 때 아마도 정두언의원이 토론회 이후로 잠자리에서 가위에 눌리는 일이 많은 모양”이라고 비아냥댔다.
'살생부' 파문 일파만파 확산
'정두언 발언'은 그동안 한나라당 물밑에서 공공연히 나돌던 발언을 공론화했을 뿐, 새로운 것은 아니다. 이명박-박근혜 갈등이 극에 달하면서 물밑에서는 "이명박이 대통령이 되면 6, 70%는 물갈이 한다더라", "박근혜가 잡아도 4, 50%는 물갈이 한다더라"는 얘기가 오래 전부터 나돌아왔기 때문이다. 이같은 '살생부' 압력은 의원들이나 원외인사들의 '줄서기'를 압박하는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해왔다.
그러나 이처럼 공공연한 이야기이긴 하나 정두언 의원이 이를 최초로 기자회견장에서 '공론화'했다는 사실은 일대 사건이다. 같은 당 의원에게 공천 불가 운운을 공개리에 말하는 것은 아무리 대권투쟁이 극심하다 할지라도 정치권의 금기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문제는 정 의원 발언이 우발적인 '개인발언'이냐, 그렇지 않냐는 것. 정 의원의 직선적 성격을 고려할 때 우발적인 발언일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5.29 정책토론회후 이명박 캠프 신경이 예민한 점을 고려할 때 '캠프 차원'의 경고일 수도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정두언 발언'을 계기로 이명박-박근혜 갈등이 넘어선 안될 선을 넘어 최악의 파국으로 치닫는 양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