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연대 "열린당과 당대당 통합 없을 것"
“국민 마음 떠난 열린당과 통합하면 열린당 2중대 불과”
범여권 통합에 나서고 있는 시민사회세력인 미래창조연대는 6일 "열린우리당과의 당대당 통합은 없다"며 "국민의 마음이 떠난 열린우리당과 통합하면 그것은 열린우리당의 2중대이고 들러리일 뿐"이라고 밝혔다.
"문국현 사장 일정 감안해 7월말∼8월초 창당"
최열 공동대표와 양길승 대외협력위원장 등 미래창조연대 지도부는 이날 서울 중구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긴급 기자간담회를 갖고 "새로운 정책과 비전을 제시하려는 우리의 정체성에 훼손되는 결합은 할 수 없다"고 말했다.
양길승 위원장은 "열린우리당 탈당파와는 기본적인 논의만 했을 뿐이며, 그분들이 발표한 스케줄은 저희와 합의된 게 아니다"며 "대선을 앞둔 전체 일정에서 큰 차이는 없겠지만 통합의 초점과 중심가치에 대해 소통이 더 많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양 위원장은 "우리는 기존 정치권의 불쏘시개나 디딤돌로 사용되려고, 혹은 통합에 뭘 대주려고 당을 만드는 게 아니다"며 "새로운 정치에 대한 지향과 협조 가능성이 있을 뿐"이라고 말했다.
미래창조연대는 7월말∼8월초에 창당하되 문국현 유한킴벌리 사장의 정치활동 개시 일정을 감안해 경선 일정 등을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최열 공동대표는 "문 사장이 결단을 내리려 해도 주주나 외국과의 계약, 스톡옵션 등 정리할 문제가 있어서 시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고, 정 대변인은 "문 사장은 경선에 참여하겠지만 새로운 가치를 실현할 판이 짜여야 한다"고 말했다.
미래창조연대는 오는 8일 발기인 대회를 열어 오충일 목사를 위원장으로 하는 창준위를 발족하고 창준위 핵심 의결기구인 중앙위원회를 30명 안팎의 시민사회 출신 인사로 구성하겠다고 밝혔다.
정대화 대변인은 "개혁적인 정치권 인사들과 창준위를 공동으로 구성하는 방안도 고려할 예정이지만 우리가 먼저 창준위를 구성하고 정치권의 참신하고 깨끗한 인사들이 개별적으로 참여하는 방식으로 추진하겠다"며 “미래창조연대의 신당은 중소기업 중심 경제발전, 비정규직 해소, 3불정책 유지, 한미 FTA 국회비준동의 다음 국회로 연기, 한반도 평화체제 및 남북경제공동체 구성 등의 정책적 방향을 설정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대규모 정당이 아닌, 작지만 강한 정당, 뚜렷한 정책적 방향을 가진 정당을 지향해야 올 대선에서 승리할 수 있다"며 "시민사회와 먼저 교섭하고 정치권과는 나중에 교섭해 시민사회 정당으로서의 뚜렷한 정체성을 형성하겠다"고 말했다.
"문국현 사장 일정 감안해 7월말∼8월초 창당"
최열 공동대표와 양길승 대외협력위원장 등 미래창조연대 지도부는 이날 서울 중구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긴급 기자간담회를 갖고 "새로운 정책과 비전을 제시하려는 우리의 정체성에 훼손되는 결합은 할 수 없다"고 말했다.
양길승 위원장은 "열린우리당 탈당파와는 기본적인 논의만 했을 뿐이며, 그분들이 발표한 스케줄은 저희와 합의된 게 아니다"며 "대선을 앞둔 전체 일정에서 큰 차이는 없겠지만 통합의 초점과 중심가치에 대해 소통이 더 많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양 위원장은 "우리는 기존 정치권의 불쏘시개나 디딤돌로 사용되려고, 혹은 통합에 뭘 대주려고 당을 만드는 게 아니다"며 "새로운 정치에 대한 지향과 협조 가능성이 있을 뿐"이라고 말했다.
미래창조연대는 7월말∼8월초에 창당하되 문국현 유한킴벌리 사장의 정치활동 개시 일정을 감안해 경선 일정 등을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최열 공동대표는 "문 사장이 결단을 내리려 해도 주주나 외국과의 계약, 스톡옵션 등 정리할 문제가 있어서 시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고, 정 대변인은 "문 사장은 경선에 참여하겠지만 새로운 가치를 실현할 판이 짜여야 한다"고 말했다.
미래창조연대는 오는 8일 발기인 대회를 열어 오충일 목사를 위원장으로 하는 창준위를 발족하고 창준위 핵심 의결기구인 중앙위원회를 30명 안팎의 시민사회 출신 인사로 구성하겠다고 밝혔다.
정대화 대변인은 "개혁적인 정치권 인사들과 창준위를 공동으로 구성하는 방안도 고려할 예정이지만 우리가 먼저 창준위를 구성하고 정치권의 참신하고 깨끗한 인사들이 개별적으로 참여하는 방식으로 추진하겠다"며 “미래창조연대의 신당은 중소기업 중심 경제발전, 비정규직 해소, 3불정책 유지, 한미 FTA 국회비준동의 다음 국회로 연기, 한반도 평화체제 및 남북경제공동체 구성 등의 정책적 방향을 설정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대규모 정당이 아닌, 작지만 강한 정당, 뚜렷한 정책적 방향을 가진 정당을 지향해야 올 대선에서 승리할 수 있다"며 "시민사회와 먼저 교섭하고 정치권과는 나중에 교섭해 시민사회 정당으로서의 뚜렷한 정체성을 형성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