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손호철 "권영길, 대선후보 사퇴하라"

자주파의 권영길 지지 비판하며 "'또 그 얼굴'이어선 안돼"

진보진영의 대표적 독설가인 손호철 교수가 30일 민주노동당 대선후보 경선에 출마한 권영길 의원에 대해 후보 사퇴를 공개 촉구했다.

손호철 "자주파의 권영길 지지 선언은 당 발전 저해"

손호철 서강대 정외과 교수는 이날 <한국일보> 고정칼럼을 통해 "대선을 채 다섯 달도 남겨 놓지 않은 현재 한나라당은 이명박, 박근혜 후보중 누가 덜 썩었는가 하는 부패경쟁을 벌이고 있고 범여권은 감동 없는 통합논쟁으로 날을 새우고 있다"며 "그런 가운데 언론의 주목을 받고 있지 않지만 민주노동당은 보수정치권에 당내경선이란 이런 것이야 한다는 모범을 보여주듯이 다양한 정책을 놓고 뜨거운 정책 대결을 벌이고 있다"며 민노당 경선에 긍정적 평가를 했다.

손 교수는 이어 "권영길 의원 이외에도 '판갈이' 발언과 같은 촌철살인의 탁월한 대중적 커뮤니케이션 기술로 장안의 화제를 몰고 다니는 노회찬 의원, 그리고 부드러운 카리스마에 뛰어난 정책적 콘텐츠로 정치부 기자들과 전문가들로부터 찬사를 받고 있는 심상정 의원이 참여해 뜨거운 경선을 벌이고 있다"며 노회찬-심상정 후보에게 긍정적 평점을 준 뒤, "민주노동당이 진성 당원제에 이어 정책대결로서의 당내 경선이라는 모범을 한국정치에 선사해주고 있는 것"이라고 거듭 민노당 경선에 긍정적 평가를 했다.

손 교수는 하지만 이어 "그러나 아쉬운 것이 있다"며 "그것은 경선의 열기가 본격적으로 뜨거워지고 있는 시점에서 당내 최대 정파인 자주파가 권 의원 지지를 선언한 것"이라며 최근 자주파의 권영길 지지 선언을 비판했다.

그는 "여론조사가 보여주듯이 그간의 거품이 꺼지면서 당의 지지도가 하락해 위기에 처해 있는 상황에서 대중적 흥행을 통해 당의 부활을 도모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인 당내 경선을 최대 정파가 특정 후보를 지지해 김을 빼는 것은 현명하지 못한 처사"라며 "특히 그 동안 민주노동당이 북한의 핵실험에 대한 자위권 발언 등을 통해 지지층이 되어야 할 노동자와 서민들로부터 멀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친북적이라는 비판을 듣고 있는 자주파가 권 후보를 지지하고 나선 것이 당의 득표와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나아가 권 후보는 경선에서 승리하더라도 '자주파의 후보'라는 멍에를 지고 다니게 됐다"고 거듭 자주파의 권영길 지지를 질타했다.

손호철 "'또 그 얼굴'이어선 안돼"

손 교수는 이어 화살을 권영길 후보에게 돌려 "자주파의 지지문제와는 별개로 아쉬운 것은 권 의원이 과감하게 이선으로 물러나 진보정당의 세대교체를 주도하지 못한 것"이라며 권 의원의 대선 3수 도전을 비판했다.

그는 "권 의원이 민주노총의 출범으로부터 민주노동당의 발전에 이르기까지 그 동안 진보진영의 발전에 기여한 것은 일일이 다 열거하기 어려울 정도"라면서도 "그러나 민주노동당이 이번 대선과 내년 총선에서 몰락하지 않으려면 식상한 '또 그 얼굴'이 아니라 새로운 얼굴과 새로운 논리, 새로운 어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그 뿐만이 아니다. 흔히들 생물학적 연령은 중요하지 않다고들 하지만 진보의 경우 그런 것만은 아니다. 권 의원이 민주노동당의 후보가 될 경우 이명박 박근혜 손학규 정동영 등 범여권과 한나라당의 후보가 누가 되든 오는 대선에서 진보후보가 가장 나이가 많은 노령후보가 되고 만다"며 "보수세력과 대결하기 위해 진보에게 필요한 것은 그런 선거판이 아니라 젊은 패기와 변화의 이미지"라고 지적했다.

그는 "지금이라도 권 의원이 '나 아니면 안 된다'는 3김식의 욕심을 버리고 당의 발전과 후진 양성을 위해 과감하게 2선으로 물러나기를 바라는 것은 정치의 논리를 모르는 순진한 먹물의 기대일까"라며 권 의원의 후보직 사퇴를 공개리에 촉구했다.

손 교수의 이같은 권영길 사퇴 촉구는 자주파의 권영길 선언후 내부적으로 줄 세우기 논란 등을 겪고 있는 민노동에 공개논쟁을 불러일으킬 전망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
최병성 기자

관련기사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