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 "정상회담서 평화-비핵화 선언 채택해야"
"구체적.실질적 조치로 평화경제체제 전면도입 협의돼야"
정동영 전 통일부 장관은 13일 이달말 열리는 제2차 남북 정상회담에서 노무현 대통령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한반도 평화선언'과 '비핵화 선언'을 채택하고 평화경제체제의 전면적 도입을 발표할 것을 제안했다.
정동영 전 장관은 이날 서울 중구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외신기자 간담회에서 “두 정상은 전 세계를 대상으로 더 이상 전쟁은 없다, 우리는 전쟁 대신 평화를 택할 것”이라며 “우리의 후손들에게 평화를 물려줄 것이라는 천명을 육성으로 약속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전 장관은 또 "김정일 위원장은 2005년 평양에서 만나 '한반도 비핵화는 김일성 주석의 유훈'이라고 두 번이나 강조한 바 있다"며 "이번 정상회담에서 한반도 비핵화가 선언되고 약속돼야 한다. 앞으로 한반도에서의 평화체제는 남북평화선언, 4자간 평화협정체결, 그리고 북미 국교정상화와 북일 국교정상화, 그리고 남북간의 군사적 신뢰구축을 축으로 하는 평화체제구축 이런 순서대로 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이번 남북정상회담이 '평양 평화회담'이 될 것이라며,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조치로서 평화경제체제의 전면적 도입이 협의되고 일정한 결과를 발표할 수 있어야 한다"면서 개성공단 사업을 남북경협 사업의 핵심모델로 제시했다.
그는 "김정일 위원장과 만나 6자회담 복귀를 설득해 이끌어냈고 정상회담 합의도 이끌어냈다"며 "이를 기초로 9.19 합의 성명이 이뤄진 게 가장 큰 보람"이라고 남북 관계에서의 자신의 역할을 강조했다.
그는 또 "피스메이커(Peace Maker)로서의 역할은 시작됐고 사명은 계속될 것"이라며 "민족적 과제를 푸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대선의 의미는 과거세력과 미래세력의 대결이다. 과거세력이란 70년대 개발독재시절에 향수를 갖는, 그러한 경제, 사회정책을 꿈꾸는 세력이다. 대북 정책도 강경 노선에 입각한 낡은 사고를 갖고 있다”며 “작년 10월 북핵실험때 한나라당 후보들의 태도와 발언은 개성을 폐쇄하라, 포용정책을 폐기하라, 본때를 보여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지금 보면 짧은 안목이라는 것이 드러났다. 짧은 식견, 역사의식의 빈곤, 평화 인식의 빈곤, 과연 한나라당과 그 후보가 국민을 대표해 미래를 열수 있겠는가”라고 지적했다.
그는 “국민의 선택에 대해 확신한다. 차기 정부는 지난 10년간의 민주정부에 뿌리를 박은 정통성을 계승 발전하여, 앞으로 5년간 한국 사회에서의 민주화, 투명화, 지식정보경제를 통해 민주주의와 시장경제 가치를 더욱 더 확장시켜 이 땅위에 한반도 르네상스를 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기자 간담회에는 30여명의 외신 기자들과 박영선, 양형일, 김현미, 정의용 등 측근 의원들도 참석했다.
정동영 전 장관은 이날 서울 중구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외신기자 간담회에서 “두 정상은 전 세계를 대상으로 더 이상 전쟁은 없다, 우리는 전쟁 대신 평화를 택할 것”이라며 “우리의 후손들에게 평화를 물려줄 것이라는 천명을 육성으로 약속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전 장관은 또 "김정일 위원장은 2005년 평양에서 만나 '한반도 비핵화는 김일성 주석의 유훈'이라고 두 번이나 강조한 바 있다"며 "이번 정상회담에서 한반도 비핵화가 선언되고 약속돼야 한다. 앞으로 한반도에서의 평화체제는 남북평화선언, 4자간 평화협정체결, 그리고 북미 국교정상화와 북일 국교정상화, 그리고 남북간의 군사적 신뢰구축을 축으로 하는 평화체제구축 이런 순서대로 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이번 남북정상회담이 '평양 평화회담'이 될 것이라며,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조치로서 평화경제체제의 전면적 도입이 협의되고 일정한 결과를 발표할 수 있어야 한다"면서 개성공단 사업을 남북경협 사업의 핵심모델로 제시했다.
그는 "김정일 위원장과 만나 6자회담 복귀를 설득해 이끌어냈고 정상회담 합의도 이끌어냈다"며 "이를 기초로 9.19 합의 성명이 이뤄진 게 가장 큰 보람"이라고 남북 관계에서의 자신의 역할을 강조했다.
그는 또 "피스메이커(Peace Maker)로서의 역할은 시작됐고 사명은 계속될 것"이라며 "민족적 과제를 푸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대선의 의미는 과거세력과 미래세력의 대결이다. 과거세력이란 70년대 개발독재시절에 향수를 갖는, 그러한 경제, 사회정책을 꿈꾸는 세력이다. 대북 정책도 강경 노선에 입각한 낡은 사고를 갖고 있다”며 “작년 10월 북핵실험때 한나라당 후보들의 태도와 발언은 개성을 폐쇄하라, 포용정책을 폐기하라, 본때를 보여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지금 보면 짧은 안목이라는 것이 드러났다. 짧은 식견, 역사의식의 빈곤, 평화 인식의 빈곤, 과연 한나라당과 그 후보가 국민을 대표해 미래를 열수 있겠는가”라고 지적했다.
그는 “국민의 선택에 대해 확신한다. 차기 정부는 지난 10년간의 민주정부에 뿌리를 박은 정통성을 계승 발전하여, 앞으로 5년간 한국 사회에서의 민주화, 투명화, 지식정보경제를 통해 민주주의와 시장경제 가치를 더욱 더 확장시켜 이 땅위에 한반도 르네상스를 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기자 간담회에는 30여명의 외신 기자들과 박영선, 양형일, 김현미, 정의용 등 측근 의원들도 참석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