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사람 교체보다 시스템 변화로 바뀌게 해야"
"당이 비대하고 첩첩해선 안돼. 기업 CEO형으로 바뀌어야"
이명박 한나라당 대선후보는 22일 당 쇄신과 관련, 거듭 당의 쇄신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사람 교체보다는 시스템 변화에 무게를 두었다.
이명박 후보는 이날 오전 견지동 안국포럼에서 기자들과 만나 "당이 비대하고 첩첩해선 안 된다"며 "세계적으로 그런 것이 없다. 당도 기업 CEO형으로 바뀌는 것이 세계적 추세"라고 말했다.
그는 '이같은 언급이 인적 쇄신을 말하는 것인가'란 질문에 "사람을 바꾸는 것보다 같은 사람이라도 그 사람이 바뀌는 것이 더 중요하다"며 "서울시장 때 시스템을 바꾸니 사람들 눈이 반짝반짝하더라"고 답했다.
그는 '박근혜 후보를 조만간 만날 것인가'란 질문에 "나에 대한 배려보다 상대에 대한 진정한 배려를 해야 한다"며 "나는 정치적 제스처가 아니라 진정성이 있다. 그냥 정치인들을 보면 만난다면서 그냥 전화를 한다. (언론이) 나를 기존 정치인들 대하듯 질문을 하고 있다"며 현재 박 전대표를 만나지 않는 것이 상대방 배려 차원임을 강조했다. 그는 "포용할 것이란 말은 몇 번을 이야기했다"며 거듭 화합을 강조했다.
한편 이 후보는 이날 오전 견지동 안국포럼에서 자신의 저서 <청계천은 미래로 흐른다>를 일본어로 번역해 출간한 야라 도모다케 후지TV 프로듀서를 만난 자리에서 "남북정상회담이 올해 대선에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으로 생각한다"며 "정상회담이 대선에 영향을 끼칠 만한 일을 해서는 안되고 그럴 경우 국민적 저항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대북지원 문제에 대해선 "기본적인 경제협력은 하기 힘들지만 인도적인 협력은 계속돼야 한다"며 "인도적인 한계 내에서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후 전날 김수환 추기경을 예방한 데 이어 이날 명동성당 대주교관으로 정진석 추기경을 예방하기도 했다. 이 후보는 정 추기경에게 "지난 번에 모세와 같은 지도자가 돼 달라고 해 고마웠다"고 인사했고, 이에 정 추기경은 "축하 드린다. 경제에 환한 분인데 외람되지만 기초가 있어야 발전한다"고 조언했다.
정 추기경은 이어 북한수해에 대해 "북한에 나무가 없어서 비만 내리면 수해가 난다고 한다"며 "그런 기초가 무너진 것이 문제이고, 식량부족 문제도 퇴비가 생산을 많이 할 수 있게 해주는데 생산해도 제 것이 되지 않으니까 시키는 일만 해서 문제가 되고 있다"고 북한체제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에 이 후보는 "그게 체제문제"라며 "자본주의가 모순이 있어도 그래도 경쟁 속에서 하는 게 낫다"고 화답했다.
이 후보는 이어 "아이를 가지면 출산부터 보육까지의 비용지원 문제와 신혼부부가 아이를 가질 때 쯤 실비정도로 집을 공급하겠다"며 "그렇게 하면 중절수술도 많이 없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정 추기경은 "생명문화운동을 하는데 그 핵심이 낙태를 하지 말자는 것"이라며 "내가 말하고 싶었던 것인데 먼저 말해줘 고맙다"고 화답했다.
이명박 후보는 이날 오전 견지동 안국포럼에서 기자들과 만나 "당이 비대하고 첩첩해선 안 된다"며 "세계적으로 그런 것이 없다. 당도 기업 CEO형으로 바뀌는 것이 세계적 추세"라고 말했다.
그는 '이같은 언급이 인적 쇄신을 말하는 것인가'란 질문에 "사람을 바꾸는 것보다 같은 사람이라도 그 사람이 바뀌는 것이 더 중요하다"며 "서울시장 때 시스템을 바꾸니 사람들 눈이 반짝반짝하더라"고 답했다.
그는 '박근혜 후보를 조만간 만날 것인가'란 질문에 "나에 대한 배려보다 상대에 대한 진정한 배려를 해야 한다"며 "나는 정치적 제스처가 아니라 진정성이 있다. 그냥 정치인들을 보면 만난다면서 그냥 전화를 한다. (언론이) 나를 기존 정치인들 대하듯 질문을 하고 있다"며 현재 박 전대표를 만나지 않는 것이 상대방 배려 차원임을 강조했다. 그는 "포용할 것이란 말은 몇 번을 이야기했다"며 거듭 화합을 강조했다.
한편 이 후보는 이날 오전 견지동 안국포럼에서 자신의 저서 <청계천은 미래로 흐른다>를 일본어로 번역해 출간한 야라 도모다케 후지TV 프로듀서를 만난 자리에서 "남북정상회담이 올해 대선에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으로 생각한다"며 "정상회담이 대선에 영향을 끼칠 만한 일을 해서는 안되고 그럴 경우 국민적 저항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대북지원 문제에 대해선 "기본적인 경제협력은 하기 힘들지만 인도적인 협력은 계속돼야 한다"며 "인도적인 한계 내에서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후 전날 김수환 추기경을 예방한 데 이어 이날 명동성당 대주교관으로 정진석 추기경을 예방하기도 했다. 이 후보는 정 추기경에게 "지난 번에 모세와 같은 지도자가 돼 달라고 해 고마웠다"고 인사했고, 이에 정 추기경은 "축하 드린다. 경제에 환한 분인데 외람되지만 기초가 있어야 발전한다"고 조언했다.
정 추기경은 이어 북한수해에 대해 "북한에 나무가 없어서 비만 내리면 수해가 난다고 한다"며 "그런 기초가 무너진 것이 문제이고, 식량부족 문제도 퇴비가 생산을 많이 할 수 있게 해주는데 생산해도 제 것이 되지 않으니까 시키는 일만 해서 문제가 되고 있다"고 북한체제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에 이 후보는 "그게 체제문제"라며 "자본주의가 모순이 있어도 그래도 경쟁 속에서 하는 게 낫다"고 화답했다.
이 후보는 이어 "아이를 가지면 출산부터 보육까지의 비용지원 문제와 신혼부부가 아이를 가질 때 쯤 실비정도로 집을 공급하겠다"며 "그렇게 하면 중절수술도 많이 없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정 추기경은 "생명문화운동을 하는데 그 핵심이 낙태를 하지 말자는 것"이라며 "내가 말하고 싶었던 것인데 먼저 말해줘 고맙다"고 화답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