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진보당 “국토부, 철도 안전 책임자로 나서야”

김영훈 "국토부 장관은 경영 책임자 아냐"

진보당이 20일 경북 청도에서 발생한 선로 작업자 사망사고와 관련 “철도 안전의 최종 책임 기관인 국토교통부가 이제는 방조자가 아닌 책임 있는 주체로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미선 진보당 부대변인은 이날 국회 소통관 기자회견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중대재해 근절을 공언했지만, 현장은 여전히 달라지지 않았다. 실질적인 구조 변화가 시급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이번 사고는 2019년 밀양, 2023년 구로 사고와 판박이다”라며 “열차 운행을 멈추지 않은 채 위험한 작업이 반복됐고, 결국 예고된 죽음이 또다시 현실이 됐다. 구조적 원인을 외면해온 정부와 코레일의 책임은 명백하다”고 질책했다.

특히 상급기관인 국토부에 대해 “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작업자 과실’로 책임을 전가하고, 구조적 문제를 외면해왔다”면서 “지금 당장 구조적 대책 마련을 해야 한다”며 ▲점검시 열차 운행 전면 차단 ▲안전 인력 확충 ▲2인 1조 작업 원칙 ▲작업중지권 및 노동자 참여 보장 등의 법제화를 촉구했다.

그러나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은 이날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중대재해처벌법에 의하면 경영 책임자에 대한 책임을 묻게 되기에 국토부 장관은 경영 책임자는 아니다”라며 국토부의 직접적 법적 책임에 선을 그었다.
박고은 기자

댓글이 4 개 있습니다.

  • 1 0
    성폭행이 권력구조의 문제이듯..

    파견직-쪼개기계약등 비정규직은.
    친일매국집단이 신자유주의를 빙자해서
    그들의 기득권보호를 위한 권력기반을
    만든것이고..중증외상센터나 신생아중환자실
    같이 적자가 나는 곳은 특히 취약해지며
    성폭행과 마찬가지로 중대재해법도 자본과 권력의 구조적인 문제이므로
    정부가 해야할일은 신자유주의(자본주의)에 예외영역을 만드는것이다

  • 1 0
    건설노조가아니라 건설하도급 개혁이핵심

    https://vop.co.kr/A00001633318.html
    전문가들 하도급 최저가낙찰제를 근본 원인으로 지목했고
    학동 철거 건물 붕괴사고가 그 대표적인 사례다
    당초 3.3㎡당 28만원으로 책정된 해체공사비가
    불법 재하도급을 거치며 4만원으로 대폭 줄어들었는데
    이런 경우 숙련 건설기능인을 확보 할수 없어서
    부실공사를 할수밖에업는 구조다

  • 1 0
    고 노회찬의원 발의 중대재해기업처벌법

    1. 경영자 처벌 강화, 법인도 범죄주체로 보고 처벌
    사망사고 등 중대재해가 발생할 경우 사업주 및 경영자에 대해.
    법정 최저형을 3년형으로, 벌금 상한을 5억
    2. 기업매출 규모에 따라 차등벌금 양형
    3. 산재사망에 대한 정부 책임자(담당공무원) 처벌 조항이 포함

  • 0 0
    응응

    계속 그렇게 하는거야.
    그래야 전 정권과 다른게 없음을
    국민에게 어필하지.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