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공공기관 부채, 4년후 127조 늘어날 것"
구윤철 "줄일 건 확실하게 줄여 새 정부 핵심과제에 투자"
주요 공공기관들의 부채가 향후 4년후 127조6천억원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정부가 올해 1천301조9천억원인 국가부채가 4년후인 2029년 1천788조9천억원으로 487조원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던 것을 참조하면, 정부에 지급 의무가 있는 국가부채와 공공기관부채가 4년후 614조원이나 급증하는 셈이다.
기재부는 1일 이같은 내용의 '2025∼2029년 공공기관 중장기재무관리계획'을,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제8차 공공기관운영위원회 회의에 제출했다.
조사 대상은 자산 2조원 이상 또는 정부의 손실보전 조항이 있는 35개 공공기관이 대상이다.
계획에 따르면, 이 기관들의 부채 규모는 올해 720조2천억원에서 2029년 847조8천억원으로 127조6천억원 증가할 예정이다.
그러나 같은 기간 자산 대비 부채 비율은 202.2%에서 190.1%로 다소 낮아질 전망이다.
구윤철 부총리는 이날 회의에서 "초혁신 선도경제 대전환을 위해 인공지능(AI) 인프라 등 핵심 분야에서 공공기관의 적극적 역할이 필요하다"면서도 "그러나 공공기관의 과도한 부채는 대국민 서비스 질 저하, 투자 여력 제한 우려가 있고 미래 성장동력마저 훼손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공공기관들은 지속적인 자구노력으로 생산성 향상과 재무 여력 확충에 만전을 기해달라"며 "공공기관도 정부와 보조를 맞춰 줄일 것은 확실하게 지출 구조조정을 하고 새 정부 국정운영 핵심 과제에 제대로 투자하는 성과 중심의 전략적 재정 운용을 해야 한다"고 지시했다.
앞서 정부가 올해 1천301조9천억원인 국가부채가 4년후인 2029년 1천788조9천억원으로 487조원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던 것을 참조하면, 정부에 지급 의무가 있는 국가부채와 공공기관부채가 4년후 614조원이나 급증하는 셈이다.
기재부는 1일 이같은 내용의 '2025∼2029년 공공기관 중장기재무관리계획'을,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제8차 공공기관운영위원회 회의에 제출했다.
조사 대상은 자산 2조원 이상 또는 정부의 손실보전 조항이 있는 35개 공공기관이 대상이다.
계획에 따르면, 이 기관들의 부채 규모는 올해 720조2천억원에서 2029년 847조8천억원으로 127조6천억원 증가할 예정이다.
그러나 같은 기간 자산 대비 부채 비율은 202.2%에서 190.1%로 다소 낮아질 전망이다.
구윤철 부총리는 이날 회의에서 "초혁신 선도경제 대전환을 위해 인공지능(AI) 인프라 등 핵심 분야에서 공공기관의 적극적 역할이 필요하다"면서도 "그러나 공공기관의 과도한 부채는 대국민 서비스 질 저하, 투자 여력 제한 우려가 있고 미래 성장동력마저 훼손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공공기관들은 지속적인 자구노력으로 생산성 향상과 재무 여력 확충에 만전을 기해달라"며 "공공기관도 정부와 보조를 맞춰 줄일 것은 확실하게 지출 구조조정을 하고 새 정부 국정운영 핵심 과제에 제대로 투자하는 성과 중심의 전략적 재정 운용을 해야 한다"고 지시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