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분기 소매경기 전망 급랭. 백화점만 '호황' 예고
주가-코인-금값 급등에도 가계부채 많은 대다수는 소외
8일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500개 소매유통업체를 대상으로 소매유통업 경기 전망지수(RBSI)를 조사한 결과, 지난 3분기 102에서 4분기 87로 25포인트나 급락했다.
RBSI가 100 아래면 '다음 분기 경기를 지난 분기보다 부정적으로 보는 기업이 많다'는 의미다.
앞서 3분기에는 새 정부 출범에 대한 기대감, 소비쿠폰 배포 등으로 27포인트 급등해 4년만에 100을 웃돌았다. 불과 한 분기만에 다시 비관론으로 원대복귀한 셈이다.
대한상의는 "경기 둔화와 내수 부진 지속, 업태 간 경쟁 심화 등 복합적 요인으로 인해 4분기 전망치가 상승 흐름을 이어가지 못했다"고 분석했다.
업태별로 보면 백화점(103)만 유일하게 기준치를 웃돌았다. 백화점은 전 분기보다 3포인트 높아지기도 했다.
백화점은 연말특수와 더불어 최근 주가, 코인, 금값 급등에 따른 자산 증식 효과 등으로 고급 상품군 소비를 자극하며 긍정적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됐다.
반면에 온라인쇼핑(87), 슈퍼마켓(83), 편의점(83), 대형마트(81)는 모두 100아래로 곤두박질쳤다. 주택담보대출 등 막대한 가계부채를 지고 있는 대다수 소비자들은 자산가치 급등 효과에서 소외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유통혁명을 주도하고 있는 온라인쇼핑(87)은 전 분기(105)보다 급락했다. 연말 특수에도 업계 경쟁 심화와 중국계 플랫폼의 저가 공세 등으로 부정적 전망이 우세했다.
슈퍼마켓(83)은 온라인 장보기 확산으로 가격 경쟁이 심화되면서 전 분기(100)보다 급락했고, 편의점(83)도 겨울철 유동 인구 감소, 과잉 경쟁 및 인건비 부담 등으로 전 분기(108)보다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대형마트(81)는 부진한 흐름이 지속돼 전 분기(89)보다 더 추락했다. 온라인·슈퍼마켓과의 치열한 가격 경쟁에 더해 소비쿠폰 사용처에서 제외된 점이 부담 요인으로 지목됐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