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수익률, 사상최초로 '마이너스(-)'
'깡통연금화' 우려 확산, 외압 따른 주식투자 확대가 주범
보건복지가족부는 26일 제5차 국민연금기금운용위원회를 열고 8월까지 기금운영 현황 및 계획을 확정, 발표했다.
확정된 기금운용현황에 따르면 8월까지 기금의 금융부문 수익률은 -0.99%로 2조2천억원 가까운 손실이 났다.
이는 국내채권에서 3.44%의 수익을 올렸음에도 불구하고 올 들어 대폭 비중을 확대한 국내주식 투자에서 무려 -20.68%의 손실을 입은 결과다. 국민연금은 해외주식에서도 -16.70%의 큰 손실을 입었다.
복지부는 사상 초유의 국민연금 원금 손실 사태와 관련, "국민연금뿐 아니라 해외 연기금들도 세계적인 주가하락의 영향으로 상반기 실적이 부진한 것으로 보고됐다"며 "1988년 이후 장기적으로는 주식 수익률이 9.88%로 채권(5.32%)보다 수익률이 높다"고 주식투자 확대를 강변했다.
복지부는 그러면서도 글로벌 금융위기에도 주식투자를 계속 늘리고 있는 데 대한 국민 비난 여론을 의식한듯, "미국의 금융불안, 국제 유동성 위축, 부실 금융기관 추가 파산 위험, 투자심리 위축 등으로 세계경제 회복이 지연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주식투자 비중을 허용범위 내에서 축소하는 대신 대체투자의 비중을 확대할 계획"이라며 향후 주식투자에 신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올해 국민연금의 주식투자 허용범위는 '17.0%±5.0%'다. 전체기금 230조원의 최대 22%까지 주식투자를 할 수 있다는 의미. 복지부는 "경제 및 금융상황의 변화에 따라 필요하면 올해 기금운용계획도 변경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덧붙였다.
국민연금은 올해 기금운용 수익률을 -4.52∼5.80%로 전망했다. 앞으로 극적으로 국내외 주가가 급등하지 않는 한, 연말께 사상 초유의 국민연금 원금 손실이 현실로 나타날 수도 있다는 의미다.
그러나 복지부가 향후 주식투자에 신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음에도 불구하고, 국민연금은 정부와 증권업계의 압박으로 지난달부터 계속 국내증시에서 주식을 사들이며 증시를 부양중이이서 향후 국민연금의 향배가 주목된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