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한국-한중일 외환보유고 '착각'?
"일부 기업, 달러 갖고 있으면 부자될 수 있다고 생각"
이명박 대통령은 8일 국내 금융 패닉과 관련, "지금 대한민국은 사실상 두려워할 만한 근본적인 이유가 없다"며 "금융문제가 어렵기 때문에 실물경제도 어려울 것이지만 세계에서 (이렇게) 수출을 많이 하는 나라가 없다. 예상대로라면 10월, 11월, 12월에는 수출 흑자가 기대된다"며 거듭 낙관론을 폈다.
李대통령, 한국 및 한중일 외환보유고 모두 틀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청와대에서 재향군인회를 초청해 가진 오찬 간담회에서 "지난 IMF 위기 때는 우리가 갖고 있는 외환 중에서도 현금으로 바꿀 수 있는 게 약 2백억 달러도 안 됐지만 지금은 2천6백억 달러를 모두 현금화할 수 있는 것으로 갖고 있기 때문에 외환적인 근본적인 문제는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그러나 지금 외환보유고가 2천3백억달러대로 급감한 사실을 모르는 등 몇달 전 수치를 거론했다.
이 대통령은 "미국발 금융위기가 유럽을 가서 강타하고 있고 이것이 아시아까지 올 위기를 갖고 있다"며 "그러나 중국, 일본, 한국 등 아시아 3국은 1조8천억달러 가까운 외화를 보유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아시아 3국은 구라파 같은 직접적 위기는 없을 것이다. 그렇고 외환문제도 우리가 보유한 외환과 단기로 돌아온 것을 상쇄하는 데는 충분한 여유가 있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여기서도 1조8천억달러는 현재 중국의 외환보유고이며, 중국-일본-한국의 외환보유고 합계는 3조달러를 넘는다는 사실도 착각해 잘못 말했다.
한편 그는 "옛날 미국이 1930년대 위기를 맞아서 루스벨트가 대통령이 됐을 때 한 말이 있다"며 "지금 미국이 어렵다고 하니까 국민들께서 당황하고 모두가 두려워하고 할 때 루스벨트 대통령이 취임하면서 '지금 미국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는 두려워하는 두려움 그 자체다. 두려움을 가질 필요가 없다'고 얘기했다"고 강조했다.
"일부 기업, 달러 갖고 있으면 부자될 거라고 생각"
한편 이 대통령은 이날 원-달러 환율 폭등의 한 주범으로 일부 대기업을 지목, 논란을 예고하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세계경제가 어렵고 내수가 어려워지고 있어 있는 사람들이 돈을 안 쓴다"며 "너무 두려워 해서는 안 된다. 정부를 믿고, 지난 번 외환위기는 저는 없다고 보는데 달러가 자꾸 귀해지니까 달러를 사재기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대기업들을 겨냥해 "달러를 갖고 있으면 환율이 오르고, 바꾸면 부자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일부 기업도 좀 있는 것 같고, 일부 사람들도 있는 것 같다"며 "국가가 어려울 때는 개인적 욕심을 가져서는 안 된다"고 기업 등을 비난했다.
그는 "옛날에 우리가 힘들게 살 때는 사재기라는 것이 있었는데 그 때는 안보불안 때문이었다. 북한과 문제가 생기면 도망가려고 라면도 사 모으고 하는 일이 있었다"며 "지금은 국민이 자신감을 갖고 있어 괜찮은데 금융위기 때문에 사재기하는 기업이나 국민이 있다면 생각을 바꿔야 한다. 이럴 때일수록 정부를 믿고 함께 나가면 어느 나라보다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협조에 앞장서 주길 바란다"며 거듭 일부 기업을 비난했다.
李대통령, 한국 및 한중일 외환보유고 모두 틀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청와대에서 재향군인회를 초청해 가진 오찬 간담회에서 "지난 IMF 위기 때는 우리가 갖고 있는 외환 중에서도 현금으로 바꿀 수 있는 게 약 2백억 달러도 안 됐지만 지금은 2천6백억 달러를 모두 현금화할 수 있는 것으로 갖고 있기 때문에 외환적인 근본적인 문제는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그러나 지금 외환보유고가 2천3백억달러대로 급감한 사실을 모르는 등 몇달 전 수치를 거론했다.
이 대통령은 "미국발 금융위기가 유럽을 가서 강타하고 있고 이것이 아시아까지 올 위기를 갖고 있다"며 "그러나 중국, 일본, 한국 등 아시아 3국은 1조8천억달러 가까운 외화를 보유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아시아 3국은 구라파 같은 직접적 위기는 없을 것이다. 그렇고 외환문제도 우리가 보유한 외환과 단기로 돌아온 것을 상쇄하는 데는 충분한 여유가 있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여기서도 1조8천억달러는 현재 중국의 외환보유고이며, 중국-일본-한국의 외환보유고 합계는 3조달러를 넘는다는 사실도 착각해 잘못 말했다.
한편 그는 "옛날 미국이 1930년대 위기를 맞아서 루스벨트가 대통령이 됐을 때 한 말이 있다"며 "지금 미국이 어렵다고 하니까 국민들께서 당황하고 모두가 두려워하고 할 때 루스벨트 대통령이 취임하면서 '지금 미국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는 두려워하는 두려움 그 자체다. 두려움을 가질 필요가 없다'고 얘기했다"고 강조했다.
"일부 기업, 달러 갖고 있으면 부자될 거라고 생각"
한편 이 대통령은 이날 원-달러 환율 폭등의 한 주범으로 일부 대기업을 지목, 논란을 예고하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세계경제가 어렵고 내수가 어려워지고 있어 있는 사람들이 돈을 안 쓴다"며 "너무 두려워 해서는 안 된다. 정부를 믿고, 지난 번 외환위기는 저는 없다고 보는데 달러가 자꾸 귀해지니까 달러를 사재기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대기업들을 겨냥해 "달러를 갖고 있으면 환율이 오르고, 바꾸면 부자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일부 기업도 좀 있는 것 같고, 일부 사람들도 있는 것 같다"며 "국가가 어려울 때는 개인적 욕심을 가져서는 안 된다"고 기업 등을 비난했다.
그는 "옛날에 우리가 힘들게 살 때는 사재기라는 것이 있었는데 그 때는 안보불안 때문이었다. 북한과 문제가 생기면 도망가려고 라면도 사 모으고 하는 일이 있었다"며 "지금은 국민이 자신감을 갖고 있어 괜찮은데 금융위기 때문에 사재기하는 기업이나 국민이 있다면 생각을 바꿔야 한다. 이럴 때일수록 정부를 믿고 함께 나가면 어느 나라보다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협조에 앞장서 주길 바란다"며 거듭 일부 기업을 비난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