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환율 폭등에도 기준금리 0.25%p 인하
국제공조 차원에서 금리인하 결정했으나...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9일 기준금리를 현재의 연 5.25%에서 5.00%로 0.25%포인트 인하, 환율시장에 미칠 영향이 주목된다.
한은은 이날 금통위 회의를 열어 지난 8월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인상한지 2개월만에 다시 금리를 내린다고 발표했다.
금통위는 회의후 발표문을 통해 "금융시장에서는 국제금융시장 불안 확산의 영향으로 환율, 주가 등 가격변수가 불안정한 움직임을 보이는 가운데 금융기관의 여신태도가 강화되고 있다"며 "이번 기준금리 인하는 금융시장 불안을 완화하고 경기가 과도하게 위축되지 않도록 하려는 것"이라고 밝혔다.
한은의 금리 인하는 국제원자재값 급락으로 인플레 압력이 줄어들고, 전날 밤 미연준 등 세계 7개 중앙은행들이 금리를 인하한 데 대한 국제적 공조 차원에서 단행된 것으로 풀이된다.
문제는 그러나 환율. 이미 이날 서울외환시장에서는 한은의 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확산되면서 원-달러 환율이 1,500원에 육박할 정도로 폭등을 거듭하고 있으며 이에 외환당국의 개입으로 간신히 1,500원 돌파를 막고 있는 상황이어서 한은의 이날 결정에 대한 논란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한은은 이날 금통위 회의를 열어 지난 8월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인상한지 2개월만에 다시 금리를 내린다고 발표했다.
금통위는 회의후 발표문을 통해 "금융시장에서는 국제금융시장 불안 확산의 영향으로 환율, 주가 등 가격변수가 불안정한 움직임을 보이는 가운데 금융기관의 여신태도가 강화되고 있다"며 "이번 기준금리 인하는 금융시장 불안을 완화하고 경기가 과도하게 위축되지 않도록 하려는 것"이라고 밝혔다.
한은의 금리 인하는 국제원자재값 급락으로 인플레 압력이 줄어들고, 전날 밤 미연준 등 세계 7개 중앙은행들이 금리를 인하한 데 대한 국제적 공조 차원에서 단행된 것으로 풀이된다.
문제는 그러나 환율. 이미 이날 서울외환시장에서는 한은의 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확산되면서 원-달러 환율이 1,500원에 육박할 정도로 폭등을 거듭하고 있으며 이에 외환당국의 개입으로 간신히 1,500원 돌파를 막고 있는 상황이어서 한은의 이날 결정에 대한 논란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