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소비 끝내 마이너스(-)로...'제2 IMF' 방불
10년만에 처음, 지방 건설사 붕괴가 결정타
1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최근의 지방경제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3분기 서울을 제외한 지방의 대형소매점 판매액지수는 작년 동기에 비해 1.1% 감소했다. 판매액지수 증가율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이후로 처음이다.
판매액지수는 1분기 6.3%에서 2분기 3.0%로 증가율이 급감하다 3분기에 결국 감소세로 돌아섰다.
부문별로도 백화점(-1.3%)과 대형마트(-1.2%) 모두 마이너스를 보여 전계층적으로 소비가 급감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이처럼 지방 소비가 꽁꽁 얼어붙게 만든 주범은 지방경제의 의존도가 절대적인 건설업이다. 3분기 건축허가 면적은 작년 동기보다 12.9%, 건축착공면적은 25.5%, 건설수주액은 15.2% 각각 급감했다. 미분양아파트가 산처럼 쌓이면서 신규건설이 줄고, 인건비와 건자재 값을 제때 지불 못하는 데다가 파산하는 지방건설사가 늘면서 지방 소비를 급랭시킨 것이다.
건설업 몰락으로 건설업을 포함하는 지방의 제조업 생산도 3분기에 작년 동기 대비 5.9% 증가에 그치면서 2분기(9.9%)에 비해 증가율이 급감했다. 작년 4분기(12.3%)와 올해 1분기(11.4%)까지 두자릿수 증가율을 유지하다 2분기부터 급격한 둔화세를 보이고 있다.
제조업업황 경기실사지수(BSI)는 1분기 84에서 2분기 83으로 낮아진 데 이어 3분기에는 74로 뚝 떨어졌고 10월에는 66까지 낮아졌다. BSI가 100을 밑돌면 현재 경기 상황을 비관적으로 보는 기업이 많다는 의미로, 앞날을 암울하게 보는 지방기업인들이 대다수임을 보여주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지방의 물가 불안은 서울보다 심해, 3분기 지방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9%로 같은 기간 전국 평균(5.5%)을 웃돌았다. 10월에도 전국 소비자물가는 4.8%를 나타내면서 4%대 진입했지만 지방은 5.1%로 여전히 5%대를 유지하고 있다.
문제는 앞으로다. 금융권이 건설사에 대한 구조조정에 본격 나서면서 상당수 지방건설사들이 퇴출되면서 지방경제 위기가 한층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수도권규제 완화에 대해 지방이 "울고 싶은데 뺨 때린 격"이라고 강력 반발하는 것도 다 이유가 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