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만수 "3월 위기 없다"...환율 1500원 육박
달 대신 손가락만 문제 삼는 꼴, '복합위기' 심화 우려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과 김동수 차관 등 재정부가 일제히 "일본자금이 다 빠져나가도 한국경제는 끄떡 없다"며 '3월 위기설' 진화에 나섰다.
한국 구조조정 지연, 수출 격감, 내수 붕괴, 연쇄도산, 글로벌 신용경색 악화 등 복합적 위기에 근거한 '3월 위기설'을 일본계 자금 이탈 위기설로만 좁혀 해석하고 있는 것. 재정부의 이같은 적극 진화에도 원-달러 환율은 5일 계속 급등하며 1500원선을 위협하고 있다.
강만수-김동수 "일본 돈 다 빠져나가도 위협 안돼"
강만수 장관은 이날 오전 과천정부청사에서 열린 위기관리대책회의에서 "3월말에 일본계 기관의 상환도래가 겹쳐 위기가 올 것이라고 하는데 아무런 근거가 없다"며 "경제가 어려워 나오는 설"이라고 말했다.
그는 "일본계 은행의 차입금은 106억달러로 이는 우리 은행 전체의 차입의 9%에 불과하고, 일본계 기관의 1분기 만기도래액은 11억불에 지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채권시장에서 일본이 차지하는 규모가 5조1천억으로 이는 전체 채권규모의 5.6%에 지나지 않는다"며 "1분기 외국인 상환규모 또한 5조3천억 수준에 불과해 3월 위기설은 전혀 근거가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주식시장에서 11월말 기준으로 일본계 자금이 3조4천2백37억원으로 전체 시가총액의 0.4%에 불과하다"며 "이는 모두 합쳐도 미미한 수준으로 3월 위기설은 아무런 근거도 없다"고 잘라 말했다.
김동수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이날 KBS라디오 '안녕하십니까 민경욱입니다'와 인터뷰에서 "3월 위기설은 9월 위기설의 아류로 근거도 극히 미약하며 실체도 없다"고 주장했다.
김 차관은 "내년 3월말 결산을 앞두고 일본계은행들이 자금을 회수한다고 하는데 일본계은행의 외채는 우리 전체 은행권 외채의 9% 수준이며, 증권과 채권시장에 투자한 일본계 자금은 전체 외국인 투자액의 3.3%"라며 "이 모든 자금이 빠져나가더라도 국내 경제에 위협이 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원-달러 환율 1,500원 육박
재정부가 이처럼 '3월 위기설' 진화에 총력전을 펴고 나섰으나, 이날 원-달러 환율은 계속 급등하며 1,500원을 눈앞에 두고 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화에 대한 원화 환율은 오전 9시29분 현재 전날보다 달러당 11.00원 상승한 1,488.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환율은 3.00원 오른 1,480.00원으로 거래를 시작해 1,474.50원으로 밀린 뒤 외국인들이 4일째 주식을 팔고 있다는 소식에 매수세가 강화되면서 한때 1,492.00원으로 급등하기도 했다.
외화유동성 부족에 대한 우려도 환율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 외환스와프 시장에서 현, 선물환율 간 차이인 스와프포인트(1개월 물)는 월 초보다 5.00원 떨어진 -20.00원을 기록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재정부 수뇌부가 세간의 '3월 위기설'을 단지 일본계 자금 이탈설로 축소 해석해 위기가 도래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는 것과 관련, 달 대신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만 보고 위기를 진화하려는 미봉책으론 시장 불안을 해소할 수 없고 도리어 위기감을 심화시킬 뿐이란 비판적 지적을 하고 있다.
한국 구조조정 지연, 수출 격감, 내수 붕괴, 연쇄도산, 글로벌 신용경색 악화 등 복합적 위기에 근거한 '3월 위기설'을 일본계 자금 이탈 위기설로만 좁혀 해석하고 있는 것. 재정부의 이같은 적극 진화에도 원-달러 환율은 5일 계속 급등하며 1500원선을 위협하고 있다.
강만수-김동수 "일본 돈 다 빠져나가도 위협 안돼"
강만수 장관은 이날 오전 과천정부청사에서 열린 위기관리대책회의에서 "3월말에 일본계 기관의 상환도래가 겹쳐 위기가 올 것이라고 하는데 아무런 근거가 없다"며 "경제가 어려워 나오는 설"이라고 말했다.
그는 "일본계 은행의 차입금은 106억달러로 이는 우리 은행 전체의 차입의 9%에 불과하고, 일본계 기관의 1분기 만기도래액은 11억불에 지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채권시장에서 일본이 차지하는 규모가 5조1천억으로 이는 전체 채권규모의 5.6%에 지나지 않는다"며 "1분기 외국인 상환규모 또한 5조3천억 수준에 불과해 3월 위기설은 전혀 근거가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주식시장에서 11월말 기준으로 일본계 자금이 3조4천2백37억원으로 전체 시가총액의 0.4%에 불과하다"며 "이는 모두 합쳐도 미미한 수준으로 3월 위기설은 아무런 근거도 없다"고 잘라 말했다.
김동수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이날 KBS라디오 '안녕하십니까 민경욱입니다'와 인터뷰에서 "3월 위기설은 9월 위기설의 아류로 근거도 극히 미약하며 실체도 없다"고 주장했다.
김 차관은 "내년 3월말 결산을 앞두고 일본계은행들이 자금을 회수한다고 하는데 일본계은행의 외채는 우리 전체 은행권 외채의 9% 수준이며, 증권과 채권시장에 투자한 일본계 자금은 전체 외국인 투자액의 3.3%"라며 "이 모든 자금이 빠져나가더라도 국내 경제에 위협이 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원-달러 환율 1,500원 육박
재정부가 이처럼 '3월 위기설' 진화에 총력전을 펴고 나섰으나, 이날 원-달러 환율은 계속 급등하며 1,500원을 눈앞에 두고 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화에 대한 원화 환율은 오전 9시29분 현재 전날보다 달러당 11.00원 상승한 1,488.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환율은 3.00원 오른 1,480.00원으로 거래를 시작해 1,474.50원으로 밀린 뒤 외국인들이 4일째 주식을 팔고 있다는 소식에 매수세가 강화되면서 한때 1,492.00원으로 급등하기도 했다.
외화유동성 부족에 대한 우려도 환율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 외환스와프 시장에서 현, 선물환율 간 차이인 스와프포인트(1개월 물)는 월 초보다 5.00원 떨어진 -20.00원을 기록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재정부 수뇌부가 세간의 '3월 위기설'을 단지 일본계 자금 이탈설로 축소 해석해 위기가 도래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는 것과 관련, 달 대신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만 보고 위기를 진화하려는 미봉책으론 시장 불안을 해소할 수 없고 도리어 위기감을 심화시킬 뿐이란 비판적 지적을 하고 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