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FT> "선진국 국민 10%만 정부통계 믿어"

영국은 겨우 6%만 신뢰, "정치인들이 통계 조작한다"

미국과 유럽의 주요 국가들 국민의 대부분은 자국 정부가 발표하는 공식 통계가 정치인들에 의해 왜곡됐다고 보기 때문에 통계를 믿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파이낸셜 타임스>가 30일 보도했다.

이 신문은 여론조사기관인 해리스에 의뢰해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스페인, 이탈리아 국민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 8명중 1명만 통계가 정확하다고 생각하며, 통계 작성 과정에 정치적 개입이 없을 것이라고 보는 응답자 비율도 그 정도밖에 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설명했다.

각국 정부가 1930년대 대공황 이래 최악의 경제위기에서 벗어나려면 어려운 결정을 내려야 한다고 자국 국민을 설득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통계 불신은 정치인들이 여론의 지지를 얻기 어렵게 만들 수 있다.

영국 통계청장인 마이클 스칼라경은 최근 "민주주의 절차가 작동하려면 국민이 누구에게 투표할 것인가를 결정할 때 믿고 판단할 수 있는 정보가 필수적"이라고 통계신뢰 회복의 필요성을 지적했다.

이번 조사에서 나라마다 비슷한 결과가 나왔지만, 특히 영국 국민 사이에서 통계의 정확성에 대한 우려와 정치적 왜곡 의심이 가장 큰 것으로 밝혀졌다.

공식 통계수치가 정치적 조작으로부터 자유롭다고 믿는 응답자가 미국은 13%, 프랑스 15%인 데 비해 영국은 가장 적은 9%만 그렇게 믿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또 영국민의 6%만 정부가 공식 통계를 정직하게 발표한다고 믿는다고 응답했다. 같은 문항에 대해 프랑스와 독일 국민은 각각 10% 동의했다.

지난 2007년 유럽연합(EU)이 실시해 발표한 유사한 여론조사에선 공식 통계를 믿는다는 응답자와 불신한다는 응답자가 각각 절반으로 나뉘었었다.

이번 조사는 성인 대부분이 정치인들이 통계를 조작한다고 생각하고 있음을 드러냈을 뿐 아니라, 응답자의 약 70%가 발표된 통계 수치를 놓고 정치인과 언론이 자의적으로 해석하는 것에 불신을 갖고 있음을 보여줬다.

조사 대상 각국에서 응답자의 절반 이상은 공식 통계에 대한 불신의 이유로 자신들의 개인 경험과 통계가 일치하지 않는 것을 들었다. 이는 경제 호황과 불황 모두 사회 각 부문에 매우 상이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일 수 있다고 파이낸셜 타임스는 설명했다.
연합뉴스

댓글이 12 개 있습니다.

  • 0 0
    dasd

    10%나 믿는다니 저 통계도 믿음이 안가는군. 거진 99%는 안 믿을껄.

  • 0 0
    쥐박이

    경제통계조작은 쥐박이가 선수더구만 좀더 진실을 알려면 통계청이나 한국은행사이트보면 쥐박이 통계가 얼마나 조잡한 편집을 거친 사기인지 금방 뽀록난다

  • 0 0
    멀믿냐?

    쥐둥아리만 열면 사기구라 생색내기 쥐자랑인 넘이 와대에 있는데
    온통사기구라쥐.

  • 1 0
    wallander

    이념병환자들은 약도 없다.아마 빨간 사과나 딸기도 못먹고,수박도 속은 못먹고 껍데기만 먹을지도 모르지.좌빨좌빨좌빨좌빨좌빨.허구헌날 좌빨타령.만병통치약이네.

  • 1 0
    뒤에서 보면

    영국국민의 입장에서 보면, 금융산업이 강도짓을 해서 국민의 소득을 자꾸 빼았고 있어서 금융산업이 제일 큰 강도지만,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금융산업이 빼앗아 가는 것은 재벌들이 뺏앗아 가는 것보다 적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제일 큰 강도는 이건희를 비롯한 재벌 들이고, 두번째가 금융산업입니다.

  • 3 0
    9988

    이세상 거짓말은 3가지 라더라
    그냥 거짓말..과
    아주 심한 거짓말...
    그리고 통계.....

  • 0 0
    뒤에서 보면

    도박판고리가 국민소득에 잡히지 않아야 한다면, 금융소득의 절반가까이가 국민소득에서 제외해야 합니다. 하지만 금융소득은 계속증가하고, 그래서 국민소득은 계속 늘어나지요. 국민의 입장에서 보면, 소득이 자꾸 줄어드는데, 금융소득의 고리돈 때문에 평균소득은 늘어난다고 정부가 발표를 하니 그 발표를 믿지 못하는 거지요.

  • 0 0
    뒤에서 보면

    가령 도박판에서 고리를 뜯었다면, 그게 소득으로 잡혀야 하는지, 안잡혀야 하는지의 문제입니다. 금융산업의 소득(부가가치)의 절반 이상이 사실상 금융도박판의 고리돈이고, 앞으로는 더 비중이 많아질겁니다. 영국의 국민이 통계를 가장 많이 믿지 않는것도 영국의 금융산업이 발달했기 때문에 그만큼 경제통계의 오차가 많아서 입니다.

  • 1 0
    뒤에서 보면

    통계의 불일치 문제는 정치적인 영향도 있지만, 근본적으로는 국민소득추계와 같이 소득에 포함되지 않아야 하는 것들이 소득에 포함되기 때문에 실제 경제에서 느끼는 것과 경제상황을 반영하는 통계가 차이가 납니다. 정치적 문제보다는 현재의 여러 경제시스템의 문제라고 해야겠지요.

  • 6 0
    나도 안믿어

    나도 안 믿어. 절대로. 특히 이 정부 발표는...

  • 15 0
    베이스타스

    우리 국민들도 여론조사는 액면 그대로 믿지 않는다.....
    조작한걸 다 알고 있으니까...

  • 1 9
    ㅋㅋ

    요새 여론조사 들먹이는 좌빨들 보란 얘기냐? 좌빨들아, 북한돈은 버려라.
    언제 휴지될지 모르니.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