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지난해 교육비 부담 7.2% 급증, 정부 '머쓱'

소득에 따른 '교육 양극화'도 날로 심화

지난해 가구당 월평균 교육비 지출이 전년보다 7.2%나 급증한 것으로 나타나, 사교육비 부담이 줄기 시작했다고 주장한 정부를 머쓱하게 만들었다.

2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2인 이상 가구의 월평균 교육비 지출액은 명목 기준 29만1천78원으로 전년(27만1천440원)보다 7.2%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소득 증가율(1.5%), 소비지출 증가율(1.9%)보다 몇 배나 높은 것으로서, 극심한 불황에도 급증하는 사교육비가 국민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항목별로 초등.중등.고등교육 등 정규교육 지출비가 10만2천원인 반면, 학생학원 등 사교육이라 불릴 수 있는 학원 및 보습교육 지출비는 17만7천741원으로 73.5% 더 많았다.

전체 교육비중 자기계발비로 볼 수 있는 성인학원 교육비와 기타 교육비는 2만588원으로 7.1%에 불과해, 대다수 가구가 자녀학습비 지출에 발목 잡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지난해 월평균 교육비는 6년 전인 2003년(18만7천298원)보다 55.4% 증가한 것이다. 이는 같은 기간 물가상승률은 20.1%보다 2.5배 이상 많은 것이어서, 사교육비가 일반물가보다 급등을 거듭해왔음을 보여주고 있다.

소득에 따른 교육 양극화 현상도 한층 심화됐다. 소득 상위 20% 가구가 지출하는 교육비는 52만9천2원으로 소득 하위 20% 가구 지출(9만2천140원)의 5.74배 수준이었다. 이 배율이 2003년 4.74배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간 교육비 지출 격차가 점점 커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 가구주 교육정도별로 전문대졸 이상 가구의 교육비 지출은 41만8천538원으로, 중졸 이하 가구 지출(9만361원)의 4.63배 수준이었다.
김혜영 기자

댓글이 10 개 있습니다.

  • 1 0
    베이스타스

    맞아 외국어고를 폐지 시키는게 사교육비를 줄이는 방법이다....

  • 1 0
    아주미친놈들

    사교육비 조장한 멩박이는.... 한다는 말이.... 대학을 너무 많이 가서 그렇다고 국민들에게 그책임을 떠넘기고....ㅉㅉㅉㅉ...니들이 뭐했냐...사교육비 줄이는데에....ㅉㅉㅉ....

  • 2 0
    ㅈㄷ

    도대체 지들이 뭘했는데 사교육비가 줄어들기 바랬다는거야? 초딩부터 일제고사 만들어서 안다니던 학원도 보내게 만들고 각종 국제학교니 자립형사립고니 만들어서 거기 들어가게 학원 더가게 만들고 외고같은 특수목적교 개혁하는거 전부다 실패하게 만들고..도대체 뭘 한게 있다고 사교육비가 줄어들길 기대하는거야? 걍 니미럴 운발에 맡겨본거야? ㅋㅋㅋㅋㅋㅋㅋㅋ

  • 3 0
    소고

    나경원도 사학재벌의 딸이거든
    나경원이 왜 그리도 뻔뻔스러운지 알수있지

  • 1 0
    소고

    머쓱이 아니야
    의도를 갖고 거짓말한거지
    곧 들통날 거짓말을 뻔뻔스럽게 해대는게 정권이야

  • 1 0
    성자

    이놈의 사기정권에서, 학부모들은 집값에 세금에 교육비에 허리가 휘고, 애들은 애들대로 학원에서 지쳐가고, 아빠들은 부자들 세금까지 메꿔주고 앉아 있으니, 그런데도 이 사기정권 지지율이 44%랜다. 국개론이 왜 안나오겠나?

  • 3 0
    공부

    국민들이 각성을 해야지.. 뻔한 당을 투표해준 탓도 있다.우리나라 역사공부 좀 하면서 살자,

  • 12 0
    답답

    이넘도 사학재단,, 이년도 사학재단.. 이 쥐색휘도 사학재단. 정치판에서 떵구녘좀 움찔거린 다는것 들이 다들 사학재단 하나씩 울궈먹으면서 세금면제 받고 돈벌이 하는 나라에서.. 공교육이 어떻게 살아날까,,,,, 하다~ 답답~ 하다~~답답~

  • 10 0
    민생

    이명박이 집권하고 나서 갈수록 삶의 질이 악화되고 있다. 정말 최악의 대통령이다. 그런데도 민생은 도외시하고 가끔 재래시장 찾아 사진찍고 상인 껴안기 쇼하는 게 다다. 오로지 대운하에만 4대강의 이름으로 올인할 뿐...

  • 8 0
    출발

    외국어고 폐지가 사교육비 줄이는 출발점이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