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교육비 부담 7.2% 급증, 정부 '머쓱'
소득에 따른 '교육 양극화'도 날로 심화
2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2인 이상 가구의 월평균 교육비 지출액은 명목 기준 29만1천78원으로 전년(27만1천440원)보다 7.2%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소득 증가율(1.5%), 소비지출 증가율(1.9%)보다 몇 배나 높은 것으로서, 극심한 불황에도 급증하는 사교육비가 국민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항목별로 초등.중등.고등교육 등 정규교육 지출비가 10만2천원인 반면, 학생학원 등 사교육이라 불릴 수 있는 학원 및 보습교육 지출비는 17만7천741원으로 73.5% 더 많았다.
전체 교육비중 자기계발비로 볼 수 있는 성인학원 교육비와 기타 교육비는 2만588원으로 7.1%에 불과해, 대다수 가구가 자녀학습비 지출에 발목 잡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지난해 월평균 교육비는 6년 전인 2003년(18만7천298원)보다 55.4% 증가한 것이다. 이는 같은 기간 물가상승률은 20.1%보다 2.5배 이상 많은 것이어서, 사교육비가 일반물가보다 급등을 거듭해왔음을 보여주고 있다.
소득에 따른 교육 양극화 현상도 한층 심화됐다. 소득 상위 20% 가구가 지출하는 교육비는 52만9천2원으로 소득 하위 20% 가구 지출(9만2천140원)의 5.74배 수준이었다. 이 배율이 2003년 4.74배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간 교육비 지출 격차가 점점 커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 가구주 교육정도별로 전문대졸 이상 가구의 교육비 지출은 41만8천538원으로, 중졸 이하 가구 지출(9만361원)의 4.63배 수준이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