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기자들 "기업, 재정부 직원을 룸살롱 데려간다더라"
"한국 대기업 접대비에 엄격한 잣대 적용해야 하지 않나"
미국 <월스트리트저널>의 에반 람스타드 기자는 이날 프레스센터에서 윤 장관을 상대로 열린 서울외신기자클럽 간담회에서 "여성의 날을 맞아 한가지 묻겠는데 한국 여성의 사회 참여율이 저조한 것은 룸살롱 등 잘못된 직장 회식 문화 때문이 아니냐"고 물었다.
이에 윤 장관은 "한국은 최근 발령받은 검사 중 절반이 여성이며 가정에서도 한국 여성만큼 경제권을 가진 나라도 없다"면서 "한국은 여성 사회 활동이 커져 오히려 저출산 문제가 생기고 있는데 룸살롱 관련은 전혀 잘못된 정보"라고 적극 반박했다.
그러자 그 기자는 이어 "기업체 직원들이 재정부 직원들을 룸살롱에 데려가는 걸로 아는데 이에 대한 기준이 있냐"며 가시 돋친 힐난성 질문을 던졌다. 이에 윤 장관은 "어디서 그런 정보를 입수했는지 의문스러우며, 우리는 그런 부분은 엄격히 규제하고 있으며 전혀 사실이 아니라고 믿고 있다"고 부인했다.
미국 <CBS>의 돈 커크 기자는 그러자 "룸살롱에서 가장 돈을 많이 쓰는 게 대기업 인사들인데, 이런 대기업들에 대한 세금 감면 등 접대비 허용은 엄격한 잣대를 적용해야 하지 않느냐"며 추궁에 가세했다. 윤 장관은 이에 "우리나라는 접대비 한도가 정해져 있어 이를 넘으면 기업 이윤에서 비용을 지출해야 한다"면서 "이런 부분에 대해서는 조세상에서 인센티브가 없다"고 답했다.
그러나 미국의 경우 1회 접대비 한도를 100달러 이하로 엄격히 제한하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는 이명박 정부가 출범하면서 참여정부때 만들었던 접대비 50만원 상한선을 폐지한 전력이 있다.
이날 외신기자 클럽 기자들이 던진 질문은 아직 우리나라가 국제사회에서 깨끗한 나라로 인식되지 못하고 있음을 웅변적으로 보여주는 것이어서 씁쓸한 여운을 남겨주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