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이어 대전도 "공무원 월급도 못줄 판"
서민복지사업에 가장 큰 타격, 6.2지방선거 비용도 부족
15일 <대전일보>에 따르면, 대전시 5개 구청 가운데 중구를 제외한 4곳이 수개월치의 직원 월급을 걱정해야 할 처지에 놓였다.
5개 자치구들이 올해 본 예산에 확보한 인건비는 동구가 516억원의 75%인 408억원, 서구가 307억원의 75%인 230억원, 유성구 300억원의 75%인 225억원, 대덕구가 417억원의 75%인 327억원에 그치고 있다.
대전시 자치구 예산팀장들은 한결같이 “이대로 가다가는 오는 9월 이후에는 공무원 월급도 못 줄 상황"이라며 "돈 쓸 곳은 많은데 곳간은 비어 가고 하루하루 피가 마른다”며 절박한 상황을 토로했다.
예산에 반영하지 못한 것은 비단 직원들 인건비 뿐만이 아니다. 법적, 의무적 경비 지출에 대한 예산마저 확보하지 못하는 등 극심한 재정난을 반영하고 있다.
5개 자치구가 대전도시공사에 지불하고 있는 청소대행사업비의 경우 86억원 가운데 70억원의 예산을 편성하지 못했다. 중구도 총 94억원으로 예상된 대행비 가운데 24억원만을 반영시켰고, 서구도 77억원 중 단 1억 원만 본예산에 반영하는 데 그쳤다. 유성구(61억원)와 대덕구(48억원)도 각각 41억원, 24억원을 각각 세우지 못해 올해 추경 등을 통해 재원을 마련해야 할 상황이다.
또한 15억원 안팎에 이르는 6·2 지방선거 경비도 서구는 재원부족으로 17억원 중 40%인 7억원만 편성해 놓은 상태다.
특히 지방재정 악화는 곧바로 서민 복지사업 축소로 이어져 심각성을 더해주고 있다.
동구와 대덕구는 가용재원이 바닥나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복지관련 시책 사업 일부를 포기했다. 중구는 국비사업에 선정되고도 구비 부담이 높아 일부 사업의 경우 추진을 미루고 있다.
자치구 한 관계자는 “자치구 세입은 전체 수입의 15%가 넘지 않지만, 국·시비 보조사업은 400여 개가 넘는다”며 “이 중 시·구비 보조율이 7대 3인 경우는 단 9개에 불과하다 보니 자치구로서는 사업을 포기할 수밖에 없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동구는 올해 국·시비 매칭사업으로 지난해보다 21.29% 증가한 192억9000만원을 부담해야 하고, 중구도 지난해 173억원보다 9억원이 증가했다. 서구도 지난해 190억원에서 220억원으로, 유성구는 187억원에서 208억원, 대덕구는 138억원에서 156억원으로 각각 상승했다.
최진혁 충남대 자치행정과 교수는 “기초자치단체 특성상 구조적으로 열악한 재정난을 스스로 타개할 방법은 없다”며 “자치구들이 규모 있는 살림을 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에서 일부 세수를 지방에 과감히 넘겨 지방 재정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