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1분기 성장률 7.8%, 금리인상 압박 가중

4대강사업 본격 추진으로 건설업도 플러스 성장

올해 1분기 경제성장률이 당초 예상보다 높은 7.8%의 고성장을 한 것으로 나타나, 금리인상 압박이 거세지고 있다.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2010년 1분기 실질국내총생산(속보)'에 따르면 1분기 실질국내총생산(GDP)은 작년 동기 대비 7.8% 성장했다. 이는 2002년 4분기의 8.1% 이후 7년 3개월 만에 최고치이다. 또한 전기 대비로는 1.8% 성장했다.

이는 한은이 지난 12일 발표했던 작년 동기 성장률(7.5%) 및 전기 대비 성장률(1.6%) 수정 전망치보다 각각 0.3%포인트와 0.2%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1분기 경제성장률이 예상보다 높게 나온 것은 환율효과에 따른 수출 증대로 산업 생산이 크게 늘어나고 설비투자도 호조를 보인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제조업은 반도체와 전자부품, 영상음향통신기기 등 전기전자의 호조에 힘입어 전기대비 3.6% 증가했다. 작년 동기 대비로는 20.0% 늘어나면서 2000년 3분기의 20.6% 이후 9년 6개월 만에 20%대를 기록했다.

건설업은 4대강사업 본격 추진의 영향으로 토목건설을 중심으로 전기대비 1.6% 증가하면서 3분기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고 서비스업은 도소매업, 운수 및 보관업 등이 호조를 보여 1.5% 증가했다.

지출 측면에서는 내수가 민간 및 정부소비, 건설 및 설비투자가 모두 늘어 전기대비 2.7% 증가했다. 작년 동기 대비로는 9.5% 증가해 2000년 2분기 9년 9개월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민간소비는 의류와 신발 등 준내구재에 대한 지출 증가로 전기대비 0.6% 증가했으며, 정부소비는 건강보험급여 확대에 따른 사회보장지출 증대 등으로 5.7% 증가했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제조용 장비와 건설기계 등 기계류 투자 증가로 전기대비 1.5% 늘었으며, 작년동기 대비로는 28.8% 증가하면서 2002년 3분기 29.9% 이후 7년 6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건설투자도 토목건설이 늘어 전기대비 0.9% 증가했다.

재화수출은 반도체와 LCD, 자동차 등이 크게 늘어 전기대비 3.4% 증가했으며, 재화수입도 기계류를 중심으로 전기대비 5.4% 증가했다. 수출과 수입은 작년 동기 대비 21.3%와 22.1% 증가하면서 각각 2004년 2분기의 30.5%와 2000년 3분기의 24.5%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교역조건 변화를 반영한 실질국내총소득(GDI)은 전기 대비 1.0%, 작년동기대비 9.1% 증가했다.

이처럼 1분기 성장률이 당초 예상보다 높은 7% 후반대가 나오면서, 현재 사상 최저인 2%로 묶어 놓고 있는 기준금리 인상 압박이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IMF 등 국제기관들조차 높은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는 한국은 미국 등 선진국보다 먼저 금리인상을 해야 한다고 지적하나, 기획재정부 등 정부는 G20 회의가 열릴 연말까지 현행 금리를 유지한다는 입장이어서 인플레 부메랑이 우려되고 있다.
박태견 기자

관련기사

댓글이 1 개 있습니다.

  • 6 0
    111

    사기 ........ 허위.....차라리 물가상승률이라고 하면 이해가 될겁니다
    --
    한해의 생산물의 총량이 증가했는가 감소했는가?
    세계가 금융위기 이후 소비가 감소하고 있으며 실업률도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을 다들 알고 계실것입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