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취업자 58만명 급증, 8년래 최대폭
청년실업률도 6%대로 하락, 50~60대 일자리 급증
9일 통계청이 발표한 '5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취업자는 2천430만6천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58만6천명이 증가했다. 이는 2002년 4월 64만6천명이 늘어난 이후 최대 증가폭이다.
이는 전달인 지난 4월의 40만1천명보다도 18만명이상 늘어난 수치여서, 고용이 완연한 회복기에 접어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취업자가 급증하면서 5월 실업률도 3.2%로 낮아지면서 2008년 11월의 3.1% 이래 최저로 낮아졌다. 올해 1월 실업률은 5.0%까지 치솟았다가 2월 4.9%, 3월 4.1%, 4월 3.8%로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4월에 93만4천명이던 실업자 수도 5월에는 79만3천명으로 줄어들었다.
청년실업률 역시 6.4%로 전월(8.6%)보다 2.2% 포인트 하락했다.
5월 고용률은 60.0%로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0.7%포인트 상승했다. 고용률이 60%를 회복한 것은 2008년 10월(60.0%) 이후 19개월 만이다.
연령별 취업자를 작년 동월과 비교하면 20대(-5만2천명)만 감소했고 다른 연령대는 모두 증가했다. 특히 50대와 60세 이상은 각각 37만4천명, 16만2천명이나 급증, 여전히 정부의 고령층 일자리 대책이 고용 증대에 큰 역할을 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산업별로 보면 농림어업만 8만7천명(4.7%) 줄었고 나머지 부문에서는 모두 증가세를 보였다. 제조업은 4.9%(19만명),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은 4.7%(37만3천명) 늘었으며 전기.운수.통신.금융업 역시 2.1%(5만8천명) 증가했다.
직업별로는 농림어업숙련자(-8만7천명, -5.2%)와 서비스.판매종사자(-8만3천명, -1.5%)는 지난달에 이어 감소세를 보였지만 기능.기계조작.단순노무종사자(44만8천명, 5.6%)와 전문.기술.행정관리자(20만5천명, 4.2%), 사무종사자(10만2천명, 2.8%)는 증가했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임금근로자가 77만명(4.7%) 증가했고 비임금근로자는 18만5천명(2.5%) 줄었다. 임금근로자 가운데 상용근로자는 76만3천명(8.2%), 임시근로자는 14만7천명(2.9%) 늘어났으나 일용근로자는 13만9천명(6.6%) 줄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