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수면제 먹어도 잠 안오더라"
"할말큼했다", 무상급식 통과시킨 민주당에 전면전 선포
오 시장은 이날 자신의 블로그에 올린 글을 통해 "12월 1일, '전면무상 급식 조례안'은 4분의 3을 차지하는 민주당 시의원들의 물리적 압력행사에 의해 강제 처리되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수면제 두어 알을 꺼내 먹어도 봤지만 머리는 오히려 더 또렷해지고 맑아지기만 했다"며 "민주당 시의원들의 이 망국적인 포퓰리즘 전략을 어떻게 막아낼 수 있을지 정치인으로서의 책임감으로 가슴은 점점 더 답답해져 갔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다음날 아침 참담한 마음으로 서울 시내의 한 산사를 찾아 노스님에게서 "혼자 애쓰지 마라"라는 충고를 들었지만 "여기서 무너지면 서울시가, 대한민국이 무너지는 상황에 어떻게 발버둥치지 않을 수 있겠느냐"라는 판단 때문에 도저히 수용할 수 없었다는 주장하기도 했다.
그는 "아직 서울시의 많은 학교는 무상급식을 할만한 물적, 인적 조직이 전혀 갖춰져 있지 않다. 현장을 몇 군데만 돌아봐도 아이들 식사를 조리하는 환경이 열악하기 짝이 없다는 걸 금세 알 수 있다"며 "학교 나오는 아이들 점심만 해결하면, 휴일이나 방학때 저소득층 아이들의 식사는 누가 책임지나"라고 반문하며 마치 전면 무상급식을 하면 휴일이나 방학때는 무상급식을 할 수 없는 것처럼 주장했다.
그는 "결식아동에 대한 지원과 혼동하면 안된다. 전혀 별개의 예산으로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라며 "무상급식은 결국 세금급식이요,부자급식이며, 보편적복지가 아닌 무차별적 복지"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 "벌써 지방에서는 무상급식에 대한 발표가 이어지고 있다. 저는 서울시가 분수령이라고 생각한다"며 "만약 서울시가 이번에 제동을 걸지 못한다면 무상급식이 기정 사실화돼 나랏꼴이 말이 아니게 될 것"이라며 거듭 '망국론'을 폈다.
그는 "이번 무상급식 조례안이 시작이기 때문에 더 위기감을 느꼈다"며 "아마 총선과 대선에서는 더 과격한 포퓰리즘 공약이 등장할 것"이라고 강변하기도 했다.
그는 "저는 결심했다. 이들과는 더 이상 대화를 이어갈 수 없겠구나...끝까지 망설이고, 끝까지 고민하던 마지막 결단을 내리기로 했다"며 "전면에 나서겠다. 제 의무와 책임을 다하겠다. 그게 30년 뒤, 50년 뒤, 100년 뒤의 서울과 대한민국에, 그리고 국민여러분께 떳떳할 수 있는 길이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그러나 자신을 맹질타한 자신의 정책보좌관이었던 선대인 김광수 경제연구소 부소장 발언에 대해서는 아무런 언급도 하지 않았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