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가 이달 또는 내년 초에 발간할 '2010 국방백서'에 '주적'(主敵)이란 표현을 사용하지 않기로 한 것으로 확인됐다.
군 고위 관계자는 26일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올해 국방백서에 '북한은 주적'이란 표현을 쓰지 않았다"며 "이미 내부적으로 북한군을 주적으로 표기하고 있고 대외적으로도 북한군을 '적'으로 표현하고 있기 때문에 국방백서에는 넣지 않은 것"이라고 밝혔다.
국방부는 보수진영의 반발을 의식한듯 이날 설명자료를 통해 "국방백서에 주적이라는 직접적인 표현은 없지만 '주적'이라는 의미가 분명하게 담긴 더 강한 표현이 사용될 것"이라고 부연설명했다.
주적 개념은 지난 1994년 제8차 실무 남북접촉에서 북한측 박영수 대표의 '서울 불바다' 발언이 나오면서 1995년 국방백서에서 처음 사용됐으나 참여정부 시절인 2004년 국방백서 이후 '직접적 군사위협', '현존하는 북한의 군사적 위협' 등으로 대체됐다.
연평도 사태후 주적 개념 부활을 공언해왔던 국방부가 이처럼 주적 표현을 사용하지 않기로 한 것은 주적 표현 사용시 북한 및 중국 등의 반발을 의식했기 때문이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다.
민주당의 전현희 원내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현재와 같은 극도의 남북 긴장관계에서 국방백서에 북한을 직접적으로 자극할 우려가 있는 주적으로 표기하는 것을 정부가 하지 않기로 한 것은 합리적 선택"이라며 환영 입장을 밝혔다.
그는 "한 국가의 안보는 실질적으로 안보의식과 국방력이 얼마나 투철한지를 평가해야지, 단지 국가 문서에 ‘주적’으로 표시하느냐 마느냐의 형식적인 문제로 안보를 평가하는 것은 안보포퓰리즘적인 발상"이라며 "주적 표기로 인해 남북간의 대화와 교류협력을 통한 평화 공존이 방해를 받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는 점에서 이번 정부의 선택을 합리적으로 평가한다"며 거듭 환영 입장을 밝혔다.
내부의 주적부터 없애야한다. 내부의 주적은 주로 쥐새 끼과 하등동물로서 권력과 재물을 탐하고 그 권력과재물을 탐하메 걸림돌이 되는사람은 좌파,빨갱이로 몰아부치며 무지한 백성들을 선동한다.또한 국내에 대대손손 잠입하여 지역감정과 국민간 갈등을 부추겨 선량한 백성들의 등골을 빼쳐묵는다. 이내부의 주적을 처단해야한다.
안보장사치들의 실상: 개머리판은 어깨에 견착시켜야 주적을 쏠 수 있고 보온병엔 물을 담아야쥐 포탄으로 써서 적들 따뜻한 물로 목욕시켜 줄 일이 있냐? 개머리판 쥐 쌍판에 대서 주적을 겨누지도 못하고 사격하다 쥐쌍판 부서지는 놈과 보온병 포탄 쏘는 놈들이 무슨 주적을 상대할까? 아 면제와 미필과 군 기피의 나라. 이런 자연산 개콘이 어디 있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