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연평도 사태 보며 통일 먼 얘기 아니라 생각"
"강력한 대응방침이 북한 도발 억제하는 효과 있어"
이명박 대통령은 29일 "나는 금년도 연평도 사태나 천안함 사태를 보면서 '우리의 통일이 아주 먼 얘기는 아니다'라고 생각한다"며 거듭 북한정권 조기 붕괴를 전망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통일부 업무보고에서 "우리 국민들이 남북통일이라는 문제에 대해서, '통일은 아주 먼 얘기다, 통일이 되면 오히려 우리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긍정적인 측면보다는 부정적인 측면이 많을 것이다'라고 하는 인식이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우리 국민들에게 있는 것이 사실"이라면서도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나는 우리 국민들에게도 '통일은 멀리 있는 것이 아니고 또 통일은 우리 국민들에게 보다 더 많은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는 인식을 심는 한해가 되어야겠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우리가 통일을 하려면 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은 한반도의 평화"라며 "금년에 '어떻게 하면 한반도의 평화 안정을 이룰 수 있는가' 하는 것을 많이 생각했다. 평화의 정착은 말로만 되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금년에 북한 도발에 대한 아주 강한 결심을 우리 국민도 하게 되었고 우리 군도 그렇게 하게 되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어 "이런 강력한 대응방침은 오히려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자신의 강경대북 정책을 정당화한 뒤, "우리가 어떻게 하면 평화를 정착시키고 통일을 이룰 것인가 고민하고 그래서 내년 통일부가 국민들에게 이 통일에 대한 인식을 달리하는 해로 삼아야겠다"고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이렇듯 대북강경 방침을 밝히면서도 "우리 남북 간에도 늘 군사적 대치만 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는 군사적 국방력을 강화하고 강한 안보를 하면서도 한편으로는 남북이 대화를 통해서 평화를 정착시키는 그러한 노력도 함께 (병행)해야 한다"며 남북대화를 지시하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통일부 업무보고에서 "우리 국민들이 남북통일이라는 문제에 대해서, '통일은 아주 먼 얘기다, 통일이 되면 오히려 우리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긍정적인 측면보다는 부정적인 측면이 많을 것이다'라고 하는 인식이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우리 국민들에게 있는 것이 사실"이라면서도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나는 우리 국민들에게도 '통일은 멀리 있는 것이 아니고 또 통일은 우리 국민들에게 보다 더 많은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는 인식을 심는 한해가 되어야겠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우리가 통일을 하려면 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은 한반도의 평화"라며 "금년에 '어떻게 하면 한반도의 평화 안정을 이룰 수 있는가' 하는 것을 많이 생각했다. 평화의 정착은 말로만 되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금년에 북한 도발에 대한 아주 강한 결심을 우리 국민도 하게 되었고 우리 군도 그렇게 하게 되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어 "이런 강력한 대응방침은 오히려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자신의 강경대북 정책을 정당화한 뒤, "우리가 어떻게 하면 평화를 정착시키고 통일을 이룰 것인가 고민하고 그래서 내년 통일부가 국민들에게 이 통일에 대한 인식을 달리하는 해로 삼아야겠다"고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이렇듯 대북강경 방침을 밝히면서도 "우리 남북 간에도 늘 군사적 대치만 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는 군사적 국방력을 강화하고 강한 안보를 하면서도 한편으로는 남북이 대화를 통해서 평화를 정착시키는 그러한 노력도 함께 (병행)해야 한다"며 남북대화를 지시하기도 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