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한국 신용등급, 군사충돌 발생하면 급락"
“북한과의 군사충돌 리스크와 잠재적인 통일 비용 등 상존”
국제신용평가기관인 스탠더드앤푸어스(S&P)가 북한 관련 지정학적 리스크가 상존하고 군사충돌시 신용등급이 급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하며, 한국에 대한 신용등급을 'A'로 유지한다고 8일 밝혔다. 극우 일각의 '전쟁 불사론'이 한국경제에 얼마나 치명적 주장인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한국 단기 신용등급 'A-1', 등급전망 '안정적' 유지
S&P는 "한국은 불확실성에 따른 위험과 노동시장 및 중소기업에서의 구조 개혁이 지연되고 있지만 한국의 경제와 재정상황, 대외적인 위상이 강화되고 있다"며 한국의 단기 신용등급 'A-1'도 그대로 유지하는 한편 등급전망도 '안정적'으로 제시했다.
S&P는 등급전망이 '긍정적'이 아닌 '안정적'으로 유지한 것에 대해 "북한과의 군사충돌 리스크와 잠재적인 통일 비용, 공공부문의 순대외자산 포지션 유지, 견조한 재정, 역동적인 경제 등이 상존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S&P는 그러나 "북한으로 인한 지정학적 리스크는 여전히 한국 신용등급의 큰 장애물"이라며 "확률은 낮지만 군사적 충돌이 발생한다면 한국의 등급은 급격히 하향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오가와 다카히라 S&P 애널리스트는 "북한의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는 지정학적 위기를 다시 고조시키고 있지만 우리가 생각하는 기본적인 경우는 현재 평화가 지속될 것이라는 것"이라며 “북한 경제 붕괴에 따른 통일 비용 부담도 한국의 등급 하향에 영향을 미치겠지만 군사충돌 시나리오보다는 하향되는 폭이 적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S&P는 이날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중소기업진흥공단의 단기 신용등급도 기존의 'A-1'로 유지했다.
한국 단기 신용등급 'A-1', 등급전망 '안정적' 유지
S&P는 "한국은 불확실성에 따른 위험과 노동시장 및 중소기업에서의 구조 개혁이 지연되고 있지만 한국의 경제와 재정상황, 대외적인 위상이 강화되고 있다"며 한국의 단기 신용등급 'A-1'도 그대로 유지하는 한편 등급전망도 '안정적'으로 제시했다.
S&P는 등급전망이 '긍정적'이 아닌 '안정적'으로 유지한 것에 대해 "북한과의 군사충돌 리스크와 잠재적인 통일 비용, 공공부문의 순대외자산 포지션 유지, 견조한 재정, 역동적인 경제 등이 상존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S&P는 그러나 "북한으로 인한 지정학적 리스크는 여전히 한국 신용등급의 큰 장애물"이라며 "확률은 낮지만 군사적 충돌이 발생한다면 한국의 등급은 급격히 하향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오가와 다카히라 S&P 애널리스트는 "북한의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는 지정학적 위기를 다시 고조시키고 있지만 우리가 생각하는 기본적인 경우는 현재 평화가 지속될 것이라는 것"이라며 “북한 경제 붕괴에 따른 통일 비용 부담도 한국의 등급 하향에 영향을 미치겠지만 군사충돌 시나리오보다는 하향되는 폭이 적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S&P는 이날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중소기업진흥공단의 단기 신용등급도 기존의 'A-1'로 유지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