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민노당, 일주일만에 "일심회 사건 유감"

“진상규명해 상응 조치할 것”, 당내 정파갈등은 엄존

민주노동당이 ‘일심회’사건에 대한 검찰 수사결과가 발표된 지 정확히 일주일 만에 뒤늦은 유감을 표명했다. 또 최고위원회에서 진상을 규명하고 그 결과에 따라 당헌.당규에 따른 상응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용진 민주노동당 대변인은 15일 오전 국회 기자실에서 전날 7시간동안 격론이 오간 최고위원회 토론결과를 브리핑하며 이 같이 밝혔다 .

박용진 대변인은 “당의 주요 간부가 이 사건에 연루되고 결과적으로 당원과 국민들에게 심려를 끼쳐드린 점에 대해 당 지도부로서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이어 박 대변인은 “일심회 사건에 대한 의혹과 진상규명을 위해 당은 최선을 다할 것이며 그 결과에 따라 당헌과 당규에 따른 상응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며 “이를 위해 최고위원회가 진상을 규명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민노당은 “외부로부터 어떠한 음해나 공작의 대상이 될 수 없다”며 “일심회 사건은 민노당의 조직 활동과 무관하다”고 강조했다.

검찰의 수사결과 발표 이후 일심회와 관련한 민노당의 공식입장 발표는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그동안 국가보안법 폐지와 공안당국의 조직적 탄압에 초점을 맞췄던 최고위원회에서 사실상의 대국민 사과 성명을 발표했다는 점에서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날 민노당의 유감 표명은 검찰의 수사발표 이후 여론조사에서 지지도가 추락하고 당내에서도 자주파와 평등파간의 갈등이 끊이지 않은 것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동안 자주파는 일심회 사건을 '공안탄압'으로 규정해왔고 평등파는 '철저한 진상규명'을 요구해왔다.

문성현 대표는 이와 관련 “이번 사건과 관련해 당 내부에서 처리방식과 내용을 놓고 갈등이 있었음을 인정한다”고 말해 당내 정파간에 치열한 논란이 있었음을 시인하면서도 “그러나 어제 결론은 북한을 포함한 어떤 외부 조직이든 당의 자주성을 흔들 수 없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16일 열리는 당 중앙위원회에서 최고위원회의 유감 표명과 관련한 대의원들의 문제제기가 이어질 것으로 보여 당내 갈등이 진정될 지는 미지수다.

한편 매주 검찰청 앞에서 공안탄압 중단을 촉구하는 항의집회과 기자회견을 열어왔던 당내 '음해공작분쇄대책위원회'는 당초 15일부터 시내 선전전을 진행할 예정이었지만 모든 일정을 중단했다.
최병성 기자

댓글이 1 개 있습니다.

  • 4 3
    아오지

    주사파 감싸는한 너흰 백전백패다
    배부른 귀족노동자들도
    김정일밑에서 강냉이죽 먹기는 싫을걸?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