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민노당, '개방형 경선제' 도입 공론화

중앙위 격론 끝 가결, 3월 전당대회 통과는 불투명

민주노동당은 11일 올해 대선후보를 뽑는 당내 경선을 당원이 아닌 일반 국민도 참여해 치르는 이른바 '개방형 경선제' 도입 안건을 오는 3월 11일 전당대회 공식안건으로 제출키로 했다.

민노당은 10일부터 11일 새벽까지 이틀 동안 경기도 용인 청소년수련원에서 열린 2007년 1차 중앙위원회에서 당헌 개정안인 개방형 경선제 도입 안건을 격론 끝에 재석위원 2백96명 중 1백81명의 찬성으로 가결시켰다.

민노당 "당원 포함 선거인단 50만명 구성, 대선-총선 임할 것"

이날 중앙위를 통과한 개방형 경선제는 투표 반영 비율을 당원 51%, 선거인단 49%로 정해 기존의 당원직선제의 정신을 존중하되 당 후원당원, 당원 추천 인사로 대규모 선거인단을 꾸려 투표권을 행사케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 안건은 3월 전당대회에서 참석 대의원 3분의2이상이 찬성할 경우에만 도입이 가능해 통과 가능성은 불투명하다. 특히 당내 개방형 경선제의 추진 배경, 실효성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갖는 정파가 적지 않은 상황이어서 최종 통과시까지 격론이 이어질 전망이다.

중앙위원회 의장인 문성현 당 대표은 "중앙위에서 만장일치에 가까운 지지가 없으면 당대회에서 어렵지 않겠나. 이게 안될 때 나올 정치적 우려가 있다"며 "최고위원회에서 각별히 노력해서 당이 대선을 힘있게 치를 수 있는 노력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찬성 "당 외연 확대" vs 반대 "정파갈등만 부추길 것"

이날 중앙위에서도 찬반 토론이 격렬하게 벌어졌다. 찬성 측은 '당내 지지도가 취약한 상황에서 비당원들을 적극적으로 조직해 올해 대선과 내년 총선에 대비해야한다'고 주장했고 반대 측은 '당의 주요한 창당정신인 진성당원제를 훼손하면서 오히려 당내 정파 조직들의 매표 행위만 부추길 것'이라며 부결을 촉구했다.

찬성토론에 나선 주경희 중앙위원은 "민주노동당에 애정을 갖고 있지만 함께 할 수 없었던 사람을 모아내는 것이 이번 대선과 총선 승리의 분수령이 될 것"이라며 "당원과 함께 하는 사람들에게 기회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대선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대토론에 나선 박성환 중앙위원은 "당 최고위가 제안하는 개방형은 외연을 넓히자는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당의 후보를 미리 뽑는 것이 통합에 제약이 될 것"이라며 "당이 진보진영 단일화를 위해 노력한다고 한다면 대외방침으로 표명하고 추진해야지 당헌개정이 중요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민주노총 일정으로 하루만에 번복된 전당대회 일정

한편 이날 중앙위는 이달 25일 열릴 예정이던 전당대회 일정을 민주노총 주요 대의원 구성미비 문제를 고려, 3월 11일로 연기했다.

그러나 민주노동당은 이날 당 홈페이지를 통해 남상헌 당대회 의장 명의로 전당대회 소집공고를 한 바 있어 당대회 개최 일정을 놓고 지도부간 엇박자가 연출된 것 아니냐는 눈총을 받았다.

한 핵심 당직자는 "이미 당대회 의장 명의로 전당대회 소집공고문이 올라왔는데 불과 하루도 지나지 않아 당 대표의 직권상정으로 연기하는게 상식적으로 말이 되냐"며 "당의 아마추어적인 모습을 그대로 보여준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날 전당대회 연기 안건에 반대 입장을 표시한 한 중앙위원도 "여전히 당내에서 민주노총의 영향력이 대단한 것 같다"며 "이러니 외부에서 민주노총당이라는 비아냥을 사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전당대회 연기 안건은 문성현 대표와 김선동 사무총장이 민주노총 지도부를 별도로 만난 후 직권상정했다.
최병성 기자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