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학규측 “이명박은 경박한 '제2의 노무현'”
이명박의 ‘시베리아 발언’에 격노, 이-손 갈등 파국 국면
이명박 전서울시장이 "손학규 전지사는 당에 남을 것이다. 당에 남든 나가든 시베리아이기 때문"이라고 말한 데 대해 손 전지사가 6일 격노하며 이 전시장을 원색적으로 비난하고 나섰다. 이명박-손학규 갈등이 파국으로 치닫는 양상이다.
손학규측 "이명박은 경박스런 '제2의 노무현'"
손 전 지사는 6일 정대협을 방문한 자리에서 이 전시장의 전날 발언에 대해 "정치인의 발언은 절제와 품격이 있어야 한다"고 반격을 가했다.
손학규 캠프는 이와 별도의 논평을 통해 “지난 번 '빈둥빈둥' 발언에서는 역사 인식의 빈곤을 드러내더니 이번 발언은 예의와 품격의 빈곤을 드러낸 것”이라고 원색적 직격탄을 날렸다.
손 전 지사측은 “대통령 될 사람의 말에는 최소한의 품격이 있어야 하는데 발언이 너무 경박스럽다”며 “제2의 노무현 대통령을 보는 것 같아 안타깝다”고 비난했다.
손 전 지사측은 또 “지금 당 안에 당을 만들고 여차하면 당을 깨고 나가겠다는 쪽이 누구인지를 반문하고 싶다”며, 유사시 탈당을 준비하고 있는 것은 이 전시장이 아니냐고 반문하기도 했다.
이 전시장은 앞서 5일 충북지역을 방문한 자리에서 손 전 지사 탈당 가능성과 관련,“손 전 경기도 지사는 당을 떠나지 않을 것”이라며 “나간다, 나간다 하는 사람은 결국 나가지 않는다. 정말 나가려는 사람은 가만히 있는 법”이라고 말했다. 그는 자신의 판단근거로 “안에 남아도 ‘시베리아’에 있는 것이지만 나가도 추운데 나가겠냐”고 말했다.
손학규 지지자들도 격노
손 전지사 지지자들도 이 전시장을 맹비난하고 나섰다.
ID '산감'은 손학규 홈페이지 게시판에 올린 글을 통해 "이명박 전 시장이 우리의 손학규님에 대해 안에서도 춥고 바깥에서도 춥다고 위로하는 척 충고하는 척 비아냥댔다"며 "그의 말뜻은 한나라당 안에서도 안 되고 밖에서도 안 되니 까불지 말라는 뜻에 다름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정말로 오만한 발언이요, 발상이 아닐 수 없다"며 "2007년 12월 19일에 보자. 그때 웃는 자가 누구인지"라고 분을 참지 못했다.
ID '쫄통령'은 '서울시 봉헌' '빈둥빈둥' 발언들을 열거한 뒤, "'집에 있어도 시베리아, 나가도 시베리아'라는 충청발언은 노망중에 핵노망"이라며 "쫄통령의 망말이 앞으로 계속 나올 것이다. 노가다 인격이란 게 원래 그렇다"고 원색적 비난을 퍼부었다.
ID '탐정큐'는 "어제 이명박이 손학규에 대하여 '집 나가면 춥다'라고 했다. 현실적으로도 이명박의 발언은 50%는 맞다"며 "정당 민주주의 사회에서는 정당을 이탈한 정치인은 '울타리 밖의 점'일 수 밖에 없다. 그래서 혹자는 '손학규당 만들거냐? 돈이 있냐? 무소속 출마할 거냐'라며 손학규는 죽어도 탈당하지 못한다라고 조롱한다"고 말했다. 그는 하지만 이어 "그러나 이명박의 발언은 50%는 틀렸다"며 "손학규는 집 나가면 추운 게 아니라, 집 나가면 천국이다. 손학규가 갇힌 울타리의 밖에는 범여권의 필드(황야)가 있다. 그 황야가 장차 손학규가 머물 궁전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범여권은 갈갈이 분화된 후에 12월19일을 향해 대통합을 할 것"이라며 "누구든지 능력과 의사가 있으면 '맨몸'으로 참가해도 된다. 그리고 그 경쟁에서 최후의 승리를 하는 자가 궁전의 왕 자리를 먹는다. 이것이 범여권이 추구하는 오픈프라이머리의 핵심이며, 손학규가 집 나가도 절대 춥고 배고프지 않을 이유"라고 손전지사에게 탈당을 권유하기도 했다.
손학규, '비장의 마이웨이' 걷나
정가에서는 손 전지사의 격렬한 반응을 심상치 않은 징후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손 전지사는 그동안 여러 차례 이 전시장에 대해 의원들 줄세우기, 조기 후보등록 등을 비난하며 경선 불참 가능성을 경고해온 바 있다. 따라서 손 전지사의 이날 격렬한 반응은 손 전지사가 사실상 경선 불참을 결심한 게 아니냐는 관측까지 낳고 있다.
그러나 손 전지사가 경선에 불참할지라도 범여권 러브콜대로 탈당할 가능성은 낮게 보는 관측이 많다. 그가 탈당할지라도 그의 지지율이 높아지거나 그가 범여권후보가 될 가능성은 희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가 일각에서는 손 전지사가 일단 경선 불참으로 대선출마 자격 요건을 유지한 뒤, 향후 예상되는 여권의 '이명박 검증 총공세'로 이 전시장이 타격을 입을 경우를 대비하지 않겠냐는 관측도 흘러나오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손학규측 "이명박은 경박스런 '제2의 노무현'"
손 전 지사는 6일 정대협을 방문한 자리에서 이 전시장의 전날 발언에 대해 "정치인의 발언은 절제와 품격이 있어야 한다"고 반격을 가했다.
손학규 캠프는 이와 별도의 논평을 통해 “지난 번 '빈둥빈둥' 발언에서는 역사 인식의 빈곤을 드러내더니 이번 발언은 예의와 품격의 빈곤을 드러낸 것”이라고 원색적 직격탄을 날렸다.
손 전 지사측은 “대통령 될 사람의 말에는 최소한의 품격이 있어야 하는데 발언이 너무 경박스럽다”며 “제2의 노무현 대통령을 보는 것 같아 안타깝다”고 비난했다.
손 전 지사측은 또 “지금 당 안에 당을 만들고 여차하면 당을 깨고 나가겠다는 쪽이 누구인지를 반문하고 싶다”며, 유사시 탈당을 준비하고 있는 것은 이 전시장이 아니냐고 반문하기도 했다.
이 전시장은 앞서 5일 충북지역을 방문한 자리에서 손 전 지사 탈당 가능성과 관련,“손 전 경기도 지사는 당을 떠나지 않을 것”이라며 “나간다, 나간다 하는 사람은 결국 나가지 않는다. 정말 나가려는 사람은 가만히 있는 법”이라고 말했다. 그는 자신의 판단근거로 “안에 남아도 ‘시베리아’에 있는 것이지만 나가도 추운데 나가겠냐”고 말했다.
손학규 지지자들도 격노
손 전지사 지지자들도 이 전시장을 맹비난하고 나섰다.
ID '산감'은 손학규 홈페이지 게시판에 올린 글을 통해 "이명박 전 시장이 우리의 손학규님에 대해 안에서도 춥고 바깥에서도 춥다고 위로하는 척 충고하는 척 비아냥댔다"며 "그의 말뜻은 한나라당 안에서도 안 되고 밖에서도 안 되니 까불지 말라는 뜻에 다름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정말로 오만한 발언이요, 발상이 아닐 수 없다"며 "2007년 12월 19일에 보자. 그때 웃는 자가 누구인지"라고 분을 참지 못했다.
ID '쫄통령'은 '서울시 봉헌' '빈둥빈둥' 발언들을 열거한 뒤, "'집에 있어도 시베리아, 나가도 시베리아'라는 충청발언은 노망중에 핵노망"이라며 "쫄통령의 망말이 앞으로 계속 나올 것이다. 노가다 인격이란 게 원래 그렇다"고 원색적 비난을 퍼부었다.
ID '탐정큐'는 "어제 이명박이 손학규에 대하여 '집 나가면 춥다'라고 했다. 현실적으로도 이명박의 발언은 50%는 맞다"며 "정당 민주주의 사회에서는 정당을 이탈한 정치인은 '울타리 밖의 점'일 수 밖에 없다. 그래서 혹자는 '손학규당 만들거냐? 돈이 있냐? 무소속 출마할 거냐'라며 손학규는 죽어도 탈당하지 못한다라고 조롱한다"고 말했다. 그는 하지만 이어 "그러나 이명박의 발언은 50%는 틀렸다"며 "손학규는 집 나가면 추운 게 아니라, 집 나가면 천국이다. 손학규가 갇힌 울타리의 밖에는 범여권의 필드(황야)가 있다. 그 황야가 장차 손학규가 머물 궁전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범여권은 갈갈이 분화된 후에 12월19일을 향해 대통합을 할 것"이라며 "누구든지 능력과 의사가 있으면 '맨몸'으로 참가해도 된다. 그리고 그 경쟁에서 최후의 승리를 하는 자가 궁전의 왕 자리를 먹는다. 이것이 범여권이 추구하는 오픈프라이머리의 핵심이며, 손학규가 집 나가도 절대 춥고 배고프지 않을 이유"라고 손전지사에게 탈당을 권유하기도 했다.
손학규, '비장의 마이웨이' 걷나
정가에서는 손 전지사의 격렬한 반응을 심상치 않은 징후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손 전지사는 그동안 여러 차례 이 전시장에 대해 의원들 줄세우기, 조기 후보등록 등을 비난하며 경선 불참 가능성을 경고해온 바 있다. 따라서 손 전지사의 이날 격렬한 반응은 손 전지사가 사실상 경선 불참을 결심한 게 아니냐는 관측까지 낳고 있다.
그러나 손 전지사가 경선에 불참할지라도 범여권 러브콜대로 탈당할 가능성은 낮게 보는 관측이 많다. 그가 탈당할지라도 그의 지지율이 높아지거나 그가 범여권후보가 될 가능성은 희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가 일각에서는 손 전지사가 일단 경선 불참으로 대선출마 자격 요건을 유지한 뒤, 향후 예상되는 여권의 '이명박 검증 총공세'로 이 전시장이 타격을 입을 경우를 대비하지 않겠냐는 관측도 흘러나오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